영주 무섬 전통마을 무섬마을이라고 불려지는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전통마을은 초가집과 기와집 등 50여가구가 고즈넉함과 아름다운 풍경이 어우러진 드라마 셋트장 같은 마을이다. 반남박씨와 선성김씨의 집성촌인 무섬마을은 삼면을 휘감아도는 내성천과 금빛모래가 있는 넓은 백사장 그리고 얼마전에 .. 고택여행 2012.11.11
개실마을(경북 고령) 경북 고령에 있는 반룡사를 다녀오는 길에 팜스테이 마을로 잘 알려진 고령의 개실마을에 다녀왔다.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1리에 위치한 '개실마을'은 영남사림학파의 중심 인물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년간 살아온 집성촌이다. 현재 50여 가구 100여명이 거주하고 있는 .. 고택여행 2012.03.05
옻골마을의 경주 최씨 종가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 소재한 '경주 최씨 종가'는 임진왜란 때에 대구 의병장으로서 왜적을 격파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공신이 된 태동공 최계선생의 아들이며 효종임금의 잠저시 사부인 대암 최동집 선생이 장래 자손의 세거지(世居地)로서 1616년에 정착한 이래 380여년간을 계속 .. 고택여행 2011.09.29
평사리의 최참판댁에서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는 박경리씨의 대하소설 토지(土地)의 주무대인 '최참판댁'이 소설 속에서 가장 중심적인 장소이다. 대하소설 '토지'의 시대배경은 1897년 추석날 부터 시작된다. 토지 1부는 지리산과 진주를 넘나드는 '평사리'라는 곳은 전형적인 농촌의 폐쇄사회에서 사랑과 .. 고택여행 2011.07.01
낙안읍성의 아름다운 길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서,남내리에 있는 낙안읍성은 고려후기때 부터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인한 피해를 막기위해 조선 전기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조선 태조 6년(1397)에 처음 쌓았으며,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4년 부터 여러해에 걸쳐 돌로 다시 성을 쌓아 규모를 넓혔다고 한다. 낙안읍성.. 고택여행 2011.06.06
낙안읍성 민속마을 (순천)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서,남내리에 위치한 '낙안읍성 민속마을'은 조선시대의 읍성이며 근래에 들어서서 가장 아름다운 초가집촌으로 유명한 곳이다. 이 마을은 1908년까지 존속하였던 낙안군의 중심지였다고 한다. 임경업장군이 쌓았다는 성곽과 내부 마을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 되어 .. 고택여행 2011.06.06
여주 명성황후 생가에서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 250~2번지에 명성황후의 생가가 있기에 '신륵사' 가는 길에 들려보았다. 조선시대 고종임금(재위 1863~1907)의 비인 명성황후(1851~1895)민씨가 태어나서 8살때 까지 살던 집이다. 명성황후 생가(시도유형문화재 제46호) 명성황후 탄강구리비 비석에 새겨진 글귀는 .. 고택여행 2011.05.24
경주 양동마을에서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북쪽 설창산에 둘러 쌓여 있는 유서 깊은 양반 마을로 1984년 12월 20일 대한민국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7월31일 브라질의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WHC) 제34차 회의에서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 고택여행 2010.09.29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민속마을이다. 양동마을은 경주시 중심 시가지에서 동북부인 포항쪽으로 약 16km 떨어진 형산강 중류 지점에 있다.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조선시대 양반마을의 전형으로 1984년 12월 24일에 '월성 양동마을'이라는 명칭으로 중요 민속자료.. 고택여행 2010.09.28
독락당 (경주 안강) 독락당은 회재 이언적선생의 제사를 받드는 옥산서원 뒷편에 있는 사랑채(보물 제 431호)이다.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00-1 이언적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고향에 돌아온 뒤에 거처한 유서 깊은 건물이라고 한다. 중종11년(1516)에 지은 이 건물은 낮은 기단 위에 세운 앞면 4칸,옆면 2.. 고택여행 201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