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 용화사 경북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258번지에 위치한 용화사는 산 중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골마을의 끝자락, 마을이 끝나는 곳에 평화롭게 자리하고 있었다. 비구니스님이 계시는 용화사의 본전건물은 대웅전이 아니고, '약사전'이었으며 약사전에는 보물로 지정된 석물이 2기가 있었으며, 오.. 그림/산사의 풍경 2016.08.23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상주 황령사. 찌는듯한 불볕더위가 기승을 떨었지만, 부처님을 뵈러가는 길은 그다지 덥다는 느낌을 받지 않았다. 절집이 있는 곳은 대부분 산기슭에 있다는 것이 이유가 되는 것인지는 몰라도 더운 것은 참을 수 있는데, 달려드는 산모기의 극성은 참으로 고통스러웠다. 그래도 산길을 걸으면서 만날.. 그림/산사의 풍경 2016.08.18
경남 하동 칠불사 경남 하동군 화계면 범왕리 1605번지, 지리산 반야봉 남쪽 쌍계사에서 북쪽으로 약 30리 정도 떨어진 산기슭에 위치한 '칠불사'는 칠불의 스승이신 문수보살의 상주도량으로 가락국 김수로왕의 일곱왕자가 성불한 것을 기념하여 수로왕이 창건했다고 전해져오는 유서 깊은 고찰이다. 칠불.. 그림/산사의 풍경 2016.08.10
구례 화엄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5,4km 떨어진 곳의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화엄사는 백제 성왕22년(544년)에 인도의 승려 연기조사가 창건한 천년고찰이다. 5년전 여름 휴가 때 다녀온후, 오랫만에 찾아갔더니 배롱나무꽃이 그해 여름을 기억하듯 활짝 피어 있.. 그림/산사의 풍경 2016.08.07
경남 하동 국사암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 봄날 휴일에 , 하동 쌍계사 산내암자 '국사암'을 찾아 갔다가 전국에서 벚꽃구경 하러 나선 인파 때문에 화개장터 입구에서 진입도 못하고 집으로 돌아간 것이 서운해서 여름 휴가를 핑계삼아 지리산에 갔다가, 호젓하게 국사암 부처님을 찾아뵐수가 있었다. 국사.. 그림/산사의 풍경 2016.08.03
경북 구미 보천사 경북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525-1, 구미 해평면 매봉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보천사는 정확한 창건시기와 창건 이후의 변천과정은 알 수 없으나 발굴된 석조여래좌상(보물 제492호)이 통일신라 시대때 조성한 것이므로 창건연대는 통일 신라 시대일 것이라고 추정한다고 했다. 보천사는 .. 그림/산사의 풍경 2016.07.26
오랫만에 찾아간 청도 대비사 한때는 자주 찾아 다니던 천년고찰이었다. 부산에서 자동차로 가지산 운문령을 넘어서 산길을 지나고, 운문댐을 지나고 그리고 또,들길을 지나고 저수지길을 돌고 돌아서 산길이 끝나는 곳에 위치한 '대비사'를 마지막 간 것이 5년전이었다. 오래도록 다니면서 친분을 쌓았던, 주지스님.. 그림/산사의 풍경 2016.07.21
군위 제2 석굴암 (삼존석굴) 경북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302번지, 군위 제2석굴암의 삼존불상은 팔공산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이다. 삼존석굴은 제2의 석굴암으로 불리는데, 이는 경주 석굴암 보다 약 1세기 정도 앞선 것으로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모태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기 때.. 그림/산사의 풍경 2016.07.10
경북 군위 신흥사 경북 군위군 우보면 달산리 1690번지, 깊은 골짜기 도봉산 자락에 꼭꼭 숨어 있는듯한 신흥사는 절 아랫 동네에 사는 신도가 아니면 찾아올 사람이 그리 많지 않아서 바람에 흔들리는 처마 끝의 풍경소리가 애잔하게 들리는 정말 고즈넉한 암자 같은 사찰이다. 몇년전만해도 '신흥암'이라.. 그림/산사의 풍경 2016.07.07
북한산 노적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331번지, 북한산의 중심인 노적봉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노적사는 조선시대 숙종때(1712년) 팔도도총섭이라는 위치에 있던 계파 성능스님이 창건한 고찰이다. 성능스님은 북한산에 중요시 되는 요충지에 11개의 사찰을 창건하고 승군이 머물게 했다. 노적사의.. 그림/산사의 풍경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