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군위 제2 석굴암 (삼존석굴)

nami2 2016. 7. 10. 00:23

           경북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302번지, 

           군위 제2석굴암의 삼존불상은 팔공산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이다.

            삼존석굴은  제2의 석굴암으로 불리는데, 이는 경주 석굴암 보다 약 1세기 정도 앞선 것으로

           경주 토함산 석굴암의 모태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불상은  팔공산 북쪽 계곡 학소대의 천연 절벽 자연 동굴에 모셔진  아미타 삼존석불이다.

                                                       군위 삼존석굴(국보 제109호)

 

                         석굴은 동굴 입구와는 달리 바닥은  평면의 2단으로 되어 있고, 천장의 입구 높이 보다

                         더 파들어간  유선형 모양이다.

                         길이 4,3m, 폭 3,8m , 높이 4,25m의  굴 전면에는  간단한 석축을 쌓아 의식 장소를 마련했고

                         안쪽으로 턱을 만들고 그 앞에는 별도의 화강암으로 된 사갓의 대좌를 놓고,

                         그 위에 본존상을  봉안 하였으며, 좌 우에는 관세음보살님과 대세지보살님을 모셨다.

                         이 석불은 손의 모양이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아미타불로 7세기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군위 삼존 석굴은  신라 19대 눌지왕때 아도화상께서 수도전법을 하시던 곳으로

                       일명 '아도굴'이라고도 하며, 그 후 원효대사께서 미타삼존불을  조성 봉안하시어 해동 제일의

                       석굴사원으로써 신라 불교의 근본도량이 되었다.

                       1927년 11월20일 이 부근 마을에 살던 최득환이라는  사람이 마을 앞 돌산 꼭대기에 밧줄을 매고

                       절벽으로 내려가 수직으로 뻗은 절벽,나무 틈에서 석굴을 발견했다.

                       나무를 쳐내고 낙엽을 헤치자, 삼존석굴이 모습을 들어냈다.

                       발견된 후에도 40년이 넘도록 세상에 묻혀 있다가 1962년 세상에 알려져서

                       국보 제109호로 지정 되었다.

 

                           이곳 제2굴암은  7세기경에 조성한 것으로  경주 석굴암 보다 약 1세기 정도 앞선

                           선행 양식으로  토함산 석굴암 조성의 모태가 되었다.

                           옛날에는 석굴암을 비롯한  이 고을에 8만9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임진왜란 당시 거의 소실되고 망각의 세월속에 묻혀오던 중

                           1972년경 한밤마을 최두환씨에 의해  삼존석굴이 발견되고, 1962년 정부로 부터

                           국보 제109호로 지정 되었다.

                           현존하는 사찰 건물은 1985년 조계종 법등스님이 제3대 주지로 부임하여 10년간

                           중창 대작불사를 발원해서 도량을 일신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돌계단이 만들어 졌지만, 당시에는 까마득한 절벽 20미터를.....

                    오르내리는 밧줄 사다리 하나 달랑 있었다고 한다.

                                                       삼성각으로 가는 길

                                                                         비로전

                                    모전석탑(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241호)

 

                              화강암 판석으로 널찍하게 구축한 단층기단위에 모전 석재로 축조한 탑이다.

                              화강암재의 기단과 모전석으로 보아,경주 분황사  모전탑의 계통으로  추정되는바

                              연대는  석굴내의 삼존상과 같은 시기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하면서도

                              7세기 후반으로 여겨진다고 했다.

                              모전석탑의 전체 높이는 약4m라고 한다.

                                                     석조비로자나 불상(경상북도 유형분화재  제 258ㄹ

                                                            요사채                                                

                                  나무에  매달린 글귀가 너무  좋아서 읽다보니

                                  물이 감로수라는 것을 잠시 까먹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구미 보천사   (0) 2016.07.26
오랫만에 찾아간 청도 대비사  (0) 2016.07.21
경북 군위 신흥사  (0) 2016.07.07
북한산 노적사  (0) 2016.06.30
경기도 고양시 한미산 '흥국사'  (0) 2016.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