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

통도사 영각앞의 자장매

nami2 2019. 2. 12. 00:02

         올해는 유난히 날씨가 따뜻하여서 이미 집주변에 있는 매실나무에는 꽃들이 몽땅 피었다.

         홍매화, 분홍매화, 청매화, 백매화, 능수매화, 만첩백매화까지....

         이곳 저곳을 산책하며,달콤한 향기가 있는 곳의 활짝 핀 매화를  쳐다보니 

         이제는 매화의 생김새를 보면서 이름을 불러줄 정도로 매화박사가 된 것 같았다.

         한달 정도 빠른 봄소식은 통도사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해마다 음력 정월 초하루쯤이면

         붉은 꽃망울이 겨우 터져서 양지 바른 곳에 위치한 나무가지의 매화를 겨우 볼 수 있었는데

         올해는  음력초하룻날에  통도사 홍매화의 만개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꽃이 피기를 기다리는 것도 꽤 괜찮은 기다림인데,올해는 그런 기다림도 없이 꽃이 먼저 사람들에게 손을 내민것 같았다.

                                     통도사 영각 앞의 홍매화가 활짝 피었다.

              통도사 자장매화는 370년 노거수로 영축산중과 한반도에서는 가장 먼저 봄 소식을 알리는

              봄의 전령사라고 한다.

              임진왜란 후 통도사 중창을 발원한 우운대사는 먼저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축조하고

              인조 23년(1643년)이후, 참회하는 마음으로 불타버린 역대조사의 진영을 모신 영각(影閣)을 건립하였다.

              상량보를 올리고 낙성을 마치니, 홀연히 매화 싹이 자라나 해마다 섣달 납월에 연분홍꽃이 피어서

              사람들은 이를 통도사 창건주이신 자장스님의 이심전심이라 믿었다.

              

              매화는 매서운 추위가 뼛속 까지 파고들을때 향기가 더욱 짙어진다고 한다.

              그 특성이 수행자의 구도행과 닮았고, 자장스님의 지계정신을  표현한다고 했다.

              대중이 이를 자장매화(慈藏梅花)라고 하였다.

              정초에 자장매화 아래에서 소원을 빌면 한해동안 좋은 일들이 꽃길 처럼 열리고

              선남선녀가 사랑을 약속하면,백년해로를 한다는 말이 전한다. 

                                                                                                         - 통도사 -             

                   '

                   매화는 너무 활짝 핀 것보다는  꽃봉오리와 곁들여진 모습이 더 예쁘다.

                   위의 사진과 아래 사진을 비교해본 결과.....

                 .

               아직은 음력 정월 초인데, 어디서 날아왔는지  벌들이 제법 윙윙거렸다.

                    .

                    .

                 .

                 바라볼 수록 매력적인 홍매화도 예쁘지만, 꽃향기도 감당못할 만큼  설레게 한다.

                 .

                    .

                  .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카메라를 들이대는지

                     그 중의 나도 카메라를 들이대는 한사람이었다.

                     스마트폰과 카메라와 번갈아 가면서 사진을 찍는 내 모습을 

                     홍매화는 어떤 마음으로 쳐다보고 있을까

                     약간은 미안했다.

                     해마다, 벌써 10년째 그렇게 홍매화를  접견하면서도,

                     또 겨울이 돌아오면  통도사 홍매화 피는  날을 기다리곤 한다.

                     올해의 설날에도 변함없이 통도사를 갔었고,  둘이 아닌 혼자 찾아가는 발걸음은 쓸쓸했지만

                     홍매화를 접견하고 돌아서는 발걸음은  꽤나 가벼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