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완주 종남산 송광사 (2)

nami2 2014. 8. 30. 23:52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4-10번지 ,완주 종남산 송광사는  늘 '완주 송광사'라고

                 표기를 하지 않으면, 삼보사찰 중의 한 곳인  승보사찰 순천 송광사를 떠올리게 된다.

                 순천 송광사 보다 뒤떨어짐이 없는 완주 송광사도 꼭 들려볼만한 사찰이라고 말하고 싶었다. 

                

                 완주 종남산의 동남쪽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송광사는 석가모니의 화현이라고 불리우는

                 진묵대선사가 오래 거처하면서 많은 이적을 보인 곳이며, 국가위난이나 기도 감응시에는

                 대웅전, 나한전,지장전 불상이 땀을 흘리고 있다고 한다.

                 또한 좌불상으로는 국내에서 제일 큰 삼세불(석가여래,미타여래, 약사여래)과

                 국내 유일의 亞자형의 종각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미소가 부럽기 까지 하다. 

                                    스님들의 수행공간의 요사채

                                           배롱나무꽃의 화사함이 송광사를 더욱 멋스럽게 한다.                                             

                                                  지장전 앞의 오색연등탑

                                                              흙으로 빚어 조성된 지장보살

 

                                           1640년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이 함께 만들어졌다.

                                                        송광사 지장전(전북유형문화재 제168호)

                                                                           세심정                                                    

                                                            나한전(완주군  시도유형문화재 제17호)

 

                                                            효종7년(1656년) 벽암 각성대사가 중창

                                      완주송광사 오백나한전 목조석가여래 삼존상과 권송상일괄(도 유형문화재169호)

 

                                      나한전은 조선 효종7년(1656년)에 지은 것으로

                                      나한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불과 16나한과 500나한이 모셔져 있다.

                                             완주 송광사는 나한기도를 봉행한다.

                                             나한기도를 정성으로 수행하면 한가지 소원을 꼭 이룬다고

                                             전해질 정도로 영험하다고 한다.

                                                                  나한전의 5백나한과 16나한

                                                                     세월의 흔적 위에 부처님

                                      열십(十)자로 된 종루 중앙칸에 범종을 모셔놓고

                                      동, 남, 서 3칸에 목어 운판 법고를 모셨다.

                                      종루의 지붕은 중앙에서 모아지는 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고

                                      마루 밑의 기둥들은 모두 원형기둥을 대어 놓았다.

                                                           퇴색된 세월의 흔적 위의 부처님!

                                                                        종루(보물1244호)

                                                     

                                     종을 달아놓은 열십자(十)형의 2층 누각으로 조선 세조 때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철종8년(1857년)에 다시 세웠다고 한다.                                 

                                      완주 송광사는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무사히 본국으로 돌아올 것을 기원하고

                                      국난으로 돌아가신 일체영가들의 왕생극락을 발원했던 곳이기도 하며

                                      병자호란 때 전주사고(왕조실록)을 지키기 위해, 승군700명이 머무르는 등

                                      민족의 역사적 영욕을 함께 했던 호국도량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