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완주 위봉사의 아름다운 풍경

nami2 2014. 9. 3. 23:42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21번지, 추줄산 자락에 위치한 위봉사는

                 고려 후기 불교를 이끌어간 나옹선사가 머무르면서 거찰의 면모를  일구어온

                 백제시대의 유서 깊은 고찰이다.

                                                     위봉사 보광명전(보물 제608호)

 

                                            빛을 두루 비춘다는 뜻을 가진 보광명전의 규모는

                                            정면3칸, 측면3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보광명전 앞을 아름답게 장식한 '배롱나무'꽃이 절정이었다. 

                                     이번 여름에 가장 아름다운 배롱나무꽃을  볼 수 있었던 곳은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앞이다. 

                   .

                                       보광명전이라 적힌 현판은 조선 순조28년(1828년)에 쓴 것이다.

                                               돌 틈 사이에서 꽃을 피운 '삼색제비꽃'이 앙증맞다.

                                                                       벌개미취

                                       위봉사 담장 위에 핀 '사위질빵'꽃이 예술적 가치를 생각나게 한다.

                                                                  위봉사 지장전

 

                               보광명전 앞에서 바라보면 봉서루 2층에 지장전 현판을 볼 수 있었다.

                               위봉사 명부전이 없어져서 2003년 신축한 봉서루에

                               지장보살님을 모셨다고 한다. 

                                                      위봉사 요사채(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보광명전 왼쪽에 工자 모양의 특이한 건물이 자리하고 있는데

                                      스님들이 거주하는 요사채를 '관음전'이라 부르는 건물이다.

                                      정면8칸, 측면7칸의 팔작지붕의 건물은 1806년(순조6년) 포련대사가 건립하였다.

                                      이곳은 과거에는 요사채로 쓰였으나 현재는 큰방과 승방으로 사용하였으며

                                      구조가 工자형으로 된 특이하고 아름다운 건물이다.

                                      1990년 보수를 거쳐 오늘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고 한다.

                                                  완주 위봉산성(전라북도 사적471호)

 

                  조선 후기에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시켜 보호할 목적으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1407년(태종7년)에 축성하여 1675년(숙종1년)에 중수 하였으며

                  성벽둘레는 약8,539m,  성벽 높이는 1,8~2,6m이다.

                  지금은 성벽 일부와 전주를 통하는 서문만 남아 있는데, 문 위에 있는 3칸의 문루는 붕괴되어

                  없어지고  높이 3m 아치형 석문만 남아 있고

                  성내에는 위봉사가 남아있다.

                 

                                                          위봉산성

 

                           또  한편으로는 위봉산성은 주민을보호할 목적으로 축조한 산성이 아니라

                           유사시에 전주 경기전과 조경묘에 있는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와 그의 조상을 상징하던

                           나무 패를 피난시키기 위해 쌓은 성이라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옥천 용암사  (0) 2014.09.08
백제의 마지막 절집 비암사  (0) 2014.09.07
전북 완주 위봉사  (0) 2014.09.03
완주 종남산 송광사 (2)  (0) 2014.08.30
완주 종남산 송광사(1)  (0)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