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박 나물

nami2 2015. 9. 18. 00:02

              오후 4시쯤이면 하나 둘 피어나기 시작하는 하얀 박꽃은 가을이 깊어 갈수록 더욱 청초해 보였다.

              둥그런 박이 박꽃 옆에 있어도 그것을 식용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번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올해는 박으로 무언가를  만들어 먹고 싶었다.

              입맛이 변하는 것인지

              아니면  나이탓인지?

              말로만 듣던 박나물을 엊그제 만들어 먹고, 너무 맛이 있어서 두번째로 또 만드는 것을 메모해놓기로 했다.

              왜냐하면 내년에 '박나물' 만드는 것을  잊어버릴까 염려스럽기 때문이다. 

                                            산책길에서 만난 하얀 박꽃이 어찌나 예쁘던지

                                   박공예품이나 어린시절에 쓰던 바가지 만든다는 것 외에는

                                   박으로 음식을 만든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는데, 시장에서 식용박을 살 수가 있었다.

                                   요즘은 웰빙음식, 사찰음식에 관심이 있다보니  예전에 미처 해먹어볼 수 없었던

                                   음식에 도전을 해볼때가 많다.

                                   몸에 좋다니까, 맛이 있으니까 ... 한번 정도 만들어 먹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우선 박 속을 파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았다.

                                   흥부놀부에 나오는 박 보다는 아주 작은 '식용박'이다. 

                                   박 속을 파내고, 늙은 호박 긁어내는 것으로 박을  긁어서 채를 만들었다.

                                   저런 도구가 없엇다면, 손으로 채를 썰어야 했을 것이다.

                                  박나물을 만들어 먹기에 손색이 없을 만큼 잘 긁어 졌다.

 

                                  동의보감에서는  박이 열을 내리고, 갈증을 해소한다고 하였으며

                                  칼슘, 철, 인,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에게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긁어 놓은 박나물을 볶기 위해서 약간의 소금으로  절여 놓았다.

 

                                       박의 효능은

                                       항암효과 예방및, 다이어트 효과, 골다공증 예방 및 빈혈예방

                                       심혈관질환 예방 및 변비에방 , 피로회복및 체력증진

                                       엽산보충효과및 항산화작용

                                 5분 정도 소금에 절여진 박나물의 물기를 꼭 짜서

                                들기름과 다진마늘을 넣고 밑간을 해놓는다. 

                                   밑간을 해놓은 박나물에 포도씨유 기름을 약간 넣고  센불에 볶으면 된다.

                                      잘 볶아진 나물에 마지막으로 쪽파 썰은 것을 넣고 마무리 한다.                                  

                                                           접시에 담고 검은깨를 뿌려 보았다.

                                          식용박1/2 통에서 박나물이 요만큼 나왔다.

                                          박나물, 열무김치, 고구마줄거리 나물을 넣고 밥을 비볐더니 정말 맛이 있었다.

                              박의 원산지는  인도, 아프리카이고, 분포지는  한국, 일본, 중국이다.

                              하얀 박꽃의 꽃말은 기다림이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가 몸에 좋은 이유.....  (0) 2015.11.24
복숭아 잼  (0) 2015.09.22
건강에 좋다는 감잎차  (0) 2015.05.11
전복죽 보다 더 맛있는 '배말죽'  (0) 2015.04.26
집에서 키워본 콩나물 일기  (0) 201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