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비봉산 대곡사 (의성)

nami2 2013. 10. 8. 00:57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비봉산(해발 579,3m) 동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대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16교구 본사 고운사 말사이다.

            대곡사가 위치한 다인면은 의성군과 인접하고 있는 상주,예천,안동 등 4개 시, 군의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

            초파일이면 4개 시,군의 많은 불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라고 한다. 

            이곳 대곡사는 한때는 9암자를 거느린 대찰이었으나, 지금은 산내암자로서 '적조암'만 있을뿐이라고 한다.                

                                                           비봉산 대곡사 일주문

                                       일주문을 지나 대곡사로 들어 가는 입구에 서있는 돌장승

                                       대곡사 분위기를 더욱 멋스럽게하는 것 같았다.

                                        도깨비 같은 형상의 무시무시한 돌장승의 잔재

                                                            대곡사 범종각(지방유형문화재 제161호)

 

                                  아무리 찾아보아도 범종이 보이지 않는 텅 빈 범종각이 쓸쓸하게 보였다.

                                  범종은 용문사로 이전 되었다는 설명이 있는 안내문이 있었을뿐이다. 

                                                 불사 중인  명부전(문화재 자료 제439호)

                                           역사를 알 수 없는  이끼 낀 석탑이 아름답다.

                                                            대곡사 다층석탑( 문화재 자료 제405호)

 

                         고려초의 청석탑으로 기단부와 점판암으로 만든 연화대좌와 탑신만 남은 것 같다.

                         대곡사 창건연대는  이 다층석탑으로 보아 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걸쳐 창건되었다고 했다.

                                                           대곡사 대웅전 (지방유형문화재 제160호)

 

                                  단청도 무채색이 되었고, 대웅전 현판의 글씨도  희미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서 더욱 멋스러워 보인다.

                                       대웅전 법당의 부처님을 모신 닫집의 단청도 퇴색되어 가고 있었다.

                                                            대웅전 천장의 단청

                                           요사채 뒷곁의 대추나무에 대추가 주렁주렁이다.

                                           한개를 따먹으니 맛이 꿀맛이었다.

                      고즈넉하게 보여지는 대곡사 풍경은 텅 빈 범종각이 있었기에 더욱 멋스러운 것 같았다. 

 

                                     꽃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대곡사에 꽃보다 더 귀한 열매

                     대곡사는 고려 공민왕17년(1368)에 지공,나옹 두분의 왕사가 중건하여 처음에는 대국사라고 했다.

                 그 후 임진 정유재란 때 전소되어 조선 선조38년(1605)에 탄우대사가 중건 하면서 '대곡사'라고

                 다시 고쳐 불렀다고 한다.

                                                                       꽃사과

 

                 한국 향토사 연구 제1집에서는 대곡사의 창건연대를 신라 말에서 고려초에 걸쳐 창건 되었음이

                 명백하다고 기술했다.

                 그 고증으로서 1196년 8월17일에 지은 백운 이규보의 '십칠일대곡사탐방시'와 다층석탑의 양식으로

                 추정되는 금동불상이 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암 (창녕 영취산)  (0) 2013.10.16
해망산 석불사 (의성)  (0) 2013.10.09
화장산 만장사 (의성)  (0) 2013.10.07
안성 칠현산 칠장사 (2)  (0) 2013.09.28
안성 칠현산 칠장사 (1)  (0)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