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장사(경기도 문화재 자료제24호)는
진천방면 지방국도에서 자동차로 10분 정도 산길로 가다보면,칠현산 기슭에 자리잡은 절집이 나온다.
신라 선덕여왕 5년(63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고려 현종5년(1014년)에 혜소국사가 중수한 후
여러차례 중건, 보수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칠장사 천왕문으로 오르는 길에 가을꽃이 피어 있었다.
칠장사 제중루
칠장사 천왕문
칠장사 경내에서 바라본 제중루의 모습
칠장사 대웅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대웅전은 조선 숙종 29년(1703년)에 탄명스님이 중건하였다.
칠장사 대웅전 앞의 당간지주
무채색으로 빛이 바랜 대웅전 현판
칠장사 동종(안성 향토 유적 제28호)
칠장사 대웅전 내에 위치한 이 동종은 종신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정확한 주조연대를 알 수 있다.
조선 정조6년(1782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뉴에 쌍룡 장신을 단 칠장사 동종
자연적인 바위가 거북 모양을 하고 있다고 했다.
안성 봉업사 석불입상(보물 제983호)
이 석불 입상은 원래 죽산의 봉업사지에 있던 것을 죽산 중학교로 옮겼다가
1980년경 칠장사로 옮겼다고 한다.
칠장사 요사채
안성 죽림리 삼층석탑
강성원 목장에서 관리해오다가 칠장사에 2005년 11월에 이전 했다고 한다.
대웅전과 원통전 중간에 있는 아주 오래된 석탑
칠장사 원통전
칠장사 나한전이 있는 언덕에서 바라본 칠장사 경내
칠장사는 조선시대에는 인조 원년(1623년)에 인목대비가 아버지 김제남과 아들 영창대군의 명복을 비는
원찰(願刹)로 삼아서 크게된 사찰이라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산 만장사 (의성) (0) | 2013.10.07 |
---|---|
안성 칠현산 칠장사 (2) (0) | 2013.09.28 |
안성 서운산 청룡사 (0) | 2013.09.26 |
여름 끝자락의 산사에서 (0) | 2013.09.16 |
통도사의 배롱나무꽃 (0) | 201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