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겨울철에 간식으로 먹을 수 있는 감홍시

nami2 2012. 11. 16. 22:43

                    암자로 가는 산길 옆의 감나무에서 부지런히 감을 따고 있는 사람들을 만났다.

                    홍시와 곶감을 만들기 위해서 빨리 감을 따야 한다며, 바쁘게 감을 따고 있는 사람들 옆에서

                    한편으로는 재미 있을 것 같아 암자 가는 것을 잠시 미루고 감 따는 것을 거들었다.  

                    이맘때면 땡감을 사다가 곶감을 만들고, 항아리에 홍시를 앉히던 예전의 어머니 모습이 생각났었고

                    덕분에 이번 겨울에는 밤참으로 홍시를 먹어야겠다는 생각으로  땡감1접(100개)을 샀다.  

                                 암자로 가는 산길 주변의  많은 감나무의 감을 부부가 열심히  따고 있었다.

                               예전의 어머니는 홍시를 만들기 위하여 항아리에 땡감을 한줄 놓고, 그 위에 볏짚을 깔고

                               또 감을 놓고, 볏짚을 깔았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플라스틱 통에다가 감을 놓고, 신문지 깔고....이렇게 해서

                               햇볕이 들지않는 서늘한 곳에 두면 홍시가 맛있게 된다고 했다.   

                                  땡감 100개를 샀더니 감밭 주인께서 덤으로 25개를 더 주었다. 

                                  125개중에 이미  나무에서 부터  홍시가 되어가고 있는 것들이 15개정도 있었다.

                                곶감은 햇볕도 잘들고, 바람도 잘 통하는 곳에서 만들어야 잘 된다고 했다.

                                아파트에서는 빚깔 좋고 먹음직스런 곶감을 만들 수 없다기에

                                곶감 만드는 것을 포기하고, 모두 홍시를 만들기로 했다.

                           나무에서 부터 말랑 거리던 것이 어느새 홍시가 만들어졌기에 '홍시쥬스'를 만들어 먹기로 했다. 

 

                          홍시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조절해주고

                          칼륨도 풍부해 나트륨을 배출해줄뿐만 아니라 모세혈관을 강하게 해주는 타닌이 들어 있어서

                          고혈압,동맥경화, 심혈관질환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감을 많이 먹으면 변비에 걸린다고 하는데, 타닌이 많이 있는  꼭지 부분에 노란 줄기 같은 것을

                         떼어내고,1~2개 정도 먹으면 변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꼭지부분과 씨를 제거하고 믹서에 갈았다.

                          껍질을 벗겨서 먹는 홍시 맛보다, 믹서에 갈아서 쥬스로 마시는 것이 훨씬 맛이 있었다.

                          냉장고에 두었던 홍시였기에 시원하고,꿀맛 처럼 달콤했다.

                                                      간식으로 먹는 빵과 영양이 풍부한 감홍시 쥬스....

 

                           홍시는 비타민C가 풍부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비타민A와C는 몸의 저항력을 높이고

                           점막을 강하게 하여 감기예방에 효과적이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박김치  (0) 2012.12.18
말린 표고버섯과 생표고버섯   (0) 2012.11.29
가을의 별미 송이버섯  (0) 2012.10.09
꽈리고추 밑반찬  (0) 2012.09.28
도토리묵 냉채  (0) 201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