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경북 안동에서의 고택여행 '농암종택'

nami2 2015. 11. 8. 23:26

                 경북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612번지

                 농암종택은 낙동강 상류 청량산 자락인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자리하고 있다.

                 현재 '농암종택'은 농암 이현보 선생의 17대 종손인 이성원선생이 살고 있으며,한옥스테이로 운영중이다.

                  

                 깊어가는 가을날에 안동으로 떠난 고택여행은 참으로 멋진 여행이었다. 

                 안동에서의 첫번째 찾아간 고택은 신비의 명산 청량산과 더불어 가송리의 협곡을 끼고 흐르는

                 낙동강 700리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었던 '농암고택'이었다. 

                 어부가로 이름이 알려진 조선시대 학자 '농암 이현보(1467~1555)의 종택으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농암 선생의 유적은 원래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 일원에 있었다.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것들을 안타까워 하던 후손들이

                 도산면 가송리에 부지를 마련하고, 안동시에서 총33억원을 지원받아

                 농암선생의 유적지 정비사업을  마무리 했다고 한다.                       

                                                               농암종택의 살림채인 '안채'

                                                               

                                                    이곳은 일반인들의 출입금지 구역이다.

                                                              농암종택의 '대문채'

                                                             종택의 '문인석'

       

                               종택의 가장 멋진 곳에 있어야할 '문인석'이 담장 옆에 자라잡고 있었다.

                                                       농암종택의 '사랑채'

                                   농암종택  사랑채 내실 벽에 걸려있는, 조선  선조임금의 어필 '적선'이다.

                                   너희 집은 대대로 선(善)을 쌓아온 집이 아니더냐' 라는 뜻이라고....

                                                           약대추

                                                      담장 옆의 사과나무

                                                                  긍구당

 

                                     이 건물은 본래 영천이씨 분천동 입향시조인 '이현'이 고려말에 창건하여

                                     접객별당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그 뒤 이현보가 중수하여 당호를 '긍구당'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긍구당은  조상의 유업을길이 이어간다는 뜻이다.

                                                    긍구당 옆에서  바라본 건물

                                                   긍구당을  정면에서 봤을때 모습

 

                               긍구당은  농암 이현보가 태어나고  죽음을 맞이했던 곳이며

                               긍구당은  고려시대 때 농암선생의 고조부가 지은 건물이라고 한다.

                                                                       명농당

 

                                명농당은 1501년 농암 선생이 44세 때

                                고향에 명농당이라고 조그만 집을 짓고 벽 위에 '귀거래도'를  그렸다.

                                그리고 4년 뒤 49세에 잠시 휴가를 얻어 명농당에 들려 시를 써서 붙이고

                                다시 한번 귀거래의 의지를 다졌다고 한다.

                                                      농암 고택에서 바라본  청량산 자락         

                                                     고택에 화사하게 핀 장미꽃

                                                농암고택의'분강서원'

 

                                   분강서원은  광해군 때(1613년) 농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는 뜻으로

                                   향현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숙종 때(1700년) 서원으로 개편이 된 곳이라고 한다.

                                     농암 이현보의 신도비가 모셔진 곳(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64호)

                                     1566년(명종20년)에 세워졌다고 한다.

                                     원래는 안동시 예안면 신남리에 있던 것을  2006년에 농암종택으로 이전되었다.

                                                     강각, 애일당이 있는 곳

 

                         애일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34호)은

                         1533년 94세의 부친 '이흠'을 위해 지은 지금의 경노당같은 곳이라고 한다.

                         92세 숙부와 82세의 외숙부를 중심으로 구로회를 만들어  아버지 늙어가는 것을 아쉬워하며

                         하루 하루를 즐겁게 지낼 수 있게 만든 곳이다.

                         당시 부모님을 모시고 색동옷을 입고 춤을 추며, 술잔을 드리기도 햇다고 한다.

                                          애일당 앞 농암각자(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43호)

 

                              1512년 전 후 애일당 아래 분강의 강가에 농암이 지은 집으로 전망이 좋으며

                              강각 옆 축대에는 농암 선생이 각자를 새긴 돌이다

                              이 각자는 '농암선생정대구장' 이라고 두 글자씩 음각으로 새겼고

                              원래 분천리 옛 애일당에 있던 것을  글자 부분만 잘라 다시 이곳으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강각

 

                     '농암'이란 원래 이현보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분천 강가의 큰 바위 이름이었는데

                      훗날 이것으로 이현보 선생이 호를 삼았다고 한다. 

                                     강각에서 바라본 낙동강과 청량산이 정말 아름답다.

 

                         농암종택은 농암 이현보 선생이 태어나고  성장한 집이며, 직계자손들이 650여년을

                         대를 이어 살아오고 있는 집이다.

                         농암종택은  낙동강을 앞개울로 삼아 장구목의 수려한 병풍바위와 마주하면서

                         길게 이어진다.

                         처음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아름다움에 놀라고,

                         이렇게 크고 아름다운 집이 옮겨져서 복원되었다는 것에 또 한번 놀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