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통도사 극락암의 '불두화' 풍경

nami2 2015. 5. 12. 00:25

                 통도사 산내암자 극락암의 5월 풍경을 사진으로 담아 보고 싶어서 오랫만에 찾아갔다.

                 2월에 홍매화 피었을 때 다녀왔는데, 벌써 5월이다.

                 겉잡을 수 없이 흐르는  세월이지만, 늘상 피고 지는 꽃 앞에서는 또다시 꽃바보가 되는 것 같다.

                 어느새 아까시꽃이 피고, 찔레꽃이 피며, 뻐꾸기가  우는 늦봄이 되었다.  

                                                          아름다운 극락암의 5월 풍경이다.

                                         극락암 '영월루' 앞이 눈이 부시게 아름다운 이유는.... 

                                        극락암의 홍매화 피던 2월은 고즈넉한 풍경이었는데

                                        불두화 피는 5월은 눈이 부시게 아름답다.

                                                              불두화(佛頭花)

 

                             불두화는 인동과에 속한 백당나무의 한품종이라고 하며

                             꽃이 다 핀 모습이 부처님의 머리 모양과 비슷하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흔히 사찰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불두화는 백당나무와 비슷하지만, 꽃이 모두 무성화(無性花)여서 열매를 맺지 않는다고 한다.

 

                             무성화는 수술과 암술이 모두 퇴화해서 형태만 꽃일뿐이라고 하는데

                             수술과암술이 없어도 꽃이 예쁘면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해봤다.

                          .

                            .

                                           극락암 무량수전 앞의 불두화가 핀 것을 처음 보았다.

                                           불두화 핀 시기를 잘 맞춰서 간 것 같았다.

                                           극락암 다닌지 15년만에 처음 보았다.

                                       석가탄신일을 앞두고 꽃이 피고

                                       부처님 머리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불두화'를

                                       이맘때 전국의 사찰, 어느 곳이든지 불두화가 만개한 것을 보았다.   

                             1~3m의 높이로 자라는 불두화는 인동과의 낙엽관목으로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프리카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의 산지에서 자란다. 

                                               요사채 '정수보각'이 더욱 멋스럽게 보여진다.  

                                                                      공조팝

                                                                      만병초 꽃

 

                                                         진달래과에 속하는 상록관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