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주 남산 신선암의 부처님 미소

nami2 2013. 11. 13. 17:19

             경주 남산은 금오산이라고 하며,일반적으로 북쪽의 금오봉(해발 466m)과 남쪽의 고위봉(해발 494m)의

             두 봉우리 사이를 잇는 산들과 계곡 전체를 통털어서 남산이라고 부른다.

             경주 남산을 오르면 골짜기 곳곳에 보물들이 숨어 있다.

             남산은 (고위봉) 해발 494m 밖에 안되는 작은 산이며,소나무와 돌이 많아서 별로 달갑지 않은 것 처럼 보이지만

             동,서,남,북 사방을 둘러보면 신라시대 유적과 유물들이 가득하다.

             천년의 세월을  지켜온 노천 박물관 남산은 1968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0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곳이다.  

 

                                칠불암에서 10여분 거리에 있는 신선암으로 가는 길이다.

                       5분 이란 시간의 흐름이 30분이나 되는 것 처럼 겁에 질려 올랐던 암벽 등반은

                       이 길을 걷는 순간 잊은듯하다.

                                    그러나 간이 콩알만한 내게는 다시금  무시무시한 길이 기다리고 있었다.

                                    길 옆에 나있는 난간 밑은 절벽이었고, 좁은 길 위로는 암벽이었다.

                                    보여지는 암벽 사잇길로 지나가야 부처님을 친견할 수 있는데, 발이 떨어지지 않았다.

                  바위 밑은 절벽이었고,  암벽 모퉁이 좁은 길은  바라만 보아도 식은땀을 흐르게 했다.

                 보살상이 계신 바위 앞의 공간은 2~3m 정도로 좁은 공간이었으며

                 그 앞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보살상이 조각된 바위면은 비가와도 불상이 젖지 않도록 윗 부분이

                 조금 앞으로 나오게 경사를 지어  깍아내고, 그 아래로

                 높이 1,53m, 너비1,27m의 보주형 광배를 감실 모양으로 조성했다.                                                                      

                                                        암벽 앞에 아주 작은  보살님들이 모셔져 있다.

                                               경주남산 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보물 제199호)

 

                               이 불상은 칠불암 위의 곧바로 선 절벽면에 새겨져 있어  마치 구름 위에 앉아 있은채

                               삼면 보관을 쓰고 있어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메마른 암벽 주변에서 자라고 있는 '구절초' 

 

                                           경주 남산은 땅 위에 옮겨진, 부처님의 세계 불국정토이다. 

                                           남산은 온통 옛 신라인들의 영혼의 안식처인 것 같다.

                                           천년이란 세월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남산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절 터가 112곳이며, 불상들이 80체가 되고

                                           크고 작은 탑들이 61기가 된다고 한다. 

                                         칠불암에서 올려다 본 신선암은 맨 꼭대기 부분에 있었다.

                                         신선암 마애보살상을 친견하려면 암벽등반을 해야 했다.

 

                                         신선암은 동남산 봉화골의 정상 아래에 있다.

                                         칠불암에서 바라보면 바위벼랑이 기를 죽이는 것 같다

                                         저 곳을 올라갈것이냐, 말것이냐를.....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추의 산사여행 (지리산 대원사 2)  (0) 2013.11.21
만추의 산사여행 (지리산 대원사1)  (0) 2013.11.21
경주 남산 칠불암  (0) 2013.11.13
남산 칠불암 가는 길  (0) 2013.11.12
안동 와룡산 유하사  (0) 2013.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