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함양 용추사

nami2 2013. 8. 30. 00:11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962번지에 있는

            용추사는 신라 소지왕 9년(487년)에 각연대사가 창건한 옛 장수사의 4개의 부속암자 중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 말사이다. 

                                    호젓한 산길을 걷는 기분이 드는 용추사 돌담길이다.

                               용추사 경내에 들어서자 대웅전 보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백일홍꽃이다.

                               경내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소박하게 다가왔다. 

                                              기백산 자락이 한눈에 보이는  용추사 대웅전

 

                            현재의 용추사 모습은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59년에 복원하기 시작하였다고 했다.

                            일주문도 원래 장수사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장수사는 불에 타서 없어졌지만,일주문을 보면,웅장했던 장수사의 역사를 가늠할 수 있었다.

                                                                   용추사 삼성각

                             용추사는 신라 소지왕9년(487년)에 각연대사가 처음 창건했으며

                             고려말에 무학대사가 중건한 후 수행정진 했던 곳인데

                             창건 당시에는  옛 장수사 산내암자 '용추암'이었다고 한다.

                                                                      용추사 명부전

 

                                명부전의 지장시왕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0호'라고 했었지만 

                                마침 용추사에 갔던 날에 명부전에서 49재중 초재를 지내고 있어서 참배를 할 수 없었다.

                                         고사목이 아니라 살아 있는 나무이 버섯이 보였다.

                                            용추사 경내를 멋스럽게 만드는 벚나무 밑둥에서 이런 버섯이 보였다.

 

                                                  약용으로 쓰여진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상사화

                                                상사화의 원산지는 중국이며,꽃말은 '이뤄질 수 없는 사랑'이라고 한다.

                                      상사화는 꽃은 잎을 못보고  잎은 꽃을 못봐서 서로를 그리워 하는 꽃이라고 한다.

                               옛장수사의 터에는 나이를 가늠할 수 없는 나무 한 그루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옛장수사의 조계문(경남유형 문화재 제54호)

                                                     현재는 용추사 일주문이다.

 

                         신라소지왕9년(487년)에 각연대사가 창건하였다는 '장수사'가 있었다.

                         장수사는 신라시대의 원효와 의상을 비롯해 조선시대의 무학,서산,사명 등

                         여러 고승들이 수도했던 이름있는 절이었으며, 용추사는 원래 장수사에 딸린 작은 암자였다.

                         6,25 전쟁 때 장수사의 일주문만 남고 몽땅 타버리자 1959년에 중건하면서 이름을 

                         용추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이라고 씌여 있는 일주문의 현판만이 장수사의 흔적을 말해주는듯 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흥암(은해사 산내암자)  (0) 2013.09.06
남덕유산 영각사  (0) 2013.09.01
해광사 용왕단  (0) 2013.08.19
통도사 서운암에서  (0) 2013.07.18
통도사 극락암에서  (0) 2013.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