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운문사 (호거산)

nami2 2010. 1. 20. 23:38

      대부분 산사로 가는 길은  산문을 지나서 길고 긴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가  또다시 일주문을 지나게 된다.

      그러나 운문사는 울창한 숲길을 따라 계속 올라가면 , 평지에 있는 사찰이다.

      사방을  둘러 보아도  병풍처럼 둘러 쌓인 산은 높기만한데, 그 가운데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는 규모가 꽤 큰 사찰이다.

        동쪽으로는 '운문산과 가지산' ,서쪽으로는 '비슬산',남쪽으로는 '화악산',북쪽으로는 '삼성산'이

      운문사를 감싸고 있다.

      그 옛날 운문사를 짓기위해 이곳 저곳을 찾아 다니던  이름모를 스님은  어떻게 이렇게 좋은 곳을 찾아 내셨는지?

      어느곳에라도  위치한  절집들은 병풍처럼 산에 둘러쌓여 그나름대로의

      아름다움으로  절을 찾는사람들에게 산이 가져다 주는 아름다움을 자연스럽게 선물로 안겨준다.  

                                          마음의 벽을 다 허물고,  사랑으로 가득하게 하라.

                                  사랑이 사방에 퍼져서,  온 세상 위와, 아래, 주위에 가득 퍼지게 하라.

                                  사랑이 장엄하고 ,헤아릴 수 없이 모을 곳에 가득 퍼지게 하라.

                                 

                 지금은 아무리봐도 겨울이지만,

                 봄이 되면 이곳은 복사꽃과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사람들의 가슴을 설레게 할것이다.

                       법고, 범종, 목어 ,운판  이렇게 사물(四物)이 놓인  범종루는 이층 누각이다.

                       1층에 있는 큰 대문을 통과해 경내로 들어가게 되었다.

        

        신라 진흥왕 (21년)창건된 운문사는 1500년 역사를 가진 큰절이다.

        창건당시 대작갑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진평왕 30년 원광법사가 제1차 중창하였으며,

        말년에 대작갑사와 가슬갑사에 머물면서 점할법회를 열고, 화랑도인 '추항과 귀산'에게 세속오계를 내려줌으로서

        화랑정신의 발원지가 되었다.

        1277년 일연선사는 고려 충열왕에 의해 운문사의 주지로 추대되어 1281년까지 머무르셨다.

 

                                                                      운문사 '만세루'

 

                 지금의 '만세루'는1105년 원응국사가 3차 중창할 때의 건물이거나, 조선 초의 건축양식으로 볼 수 있다.

                 200평이나 되고,큰 법회가 있을 때 대웅전에 들어가지 못한 대중들이 대웅전을 향해 앉아

                 법회에 참석하기도 했던곳이기도 하다.

                                                       운문사에는 '대웅보전'이 두채가 있다.

 

                 만세루를 중심으로  만세루 뒷편에 있는  대웅보전은 1994년 건립

                 승가대학이 생기고,대중들의 수가 많아지자 기존의 협소하고, 낡은 대웅보전은  수용이 어려워

                 넓은 터에 새 법당이 지여진곳이다.

                                       숨소리조차 내는 것이 송구스러운 고요함은

                               무엇을 하는 곳인지 모르지만  그 옆으로 갈 수도 없을만큼 조심스럽다.

                                                   만세루 뒷편에 있는 큰대웅보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셨다.

                                                                        만세루 안에 있는 '동종'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어림잡아  1000년 세월의 흐름에 모습은 일그러지고....

                    1958년 불교정화운동이후,비구니 "금광스님" 의해 비구니 전문 강원이 개설 되었고,

                    비구니 명성스님께서

                    취임 뒤인 1987년 운문사 승가대학으로  개칭되어 승려교육과 경전 연구기관으로 자리잡았다.

                   많은 비구니 스님들이 수행 정진 하고 있고, 전각 수 만해도 30여동이 넘는다고 하니 전국에서

                   최고로 손꼽힐만하다.   

                  '불이문'  두 마음을 갖지말라는 문 (대문안의 세상과 대문 밖의세상)은 너무도 큰 차이가 있는것이라고....

                                                       운문사 또하나의 '대웅보전'

 

        만세루 오른쪽에 있는 대웅보전은 1718년에 건립된것인데, 몇년전 까지만해도 비로전이라고 했었다.

        비로나자불을 주불로 모시고 있으며, 보물 제 835로 지정되어 있는 대웅보전 계단

        양편으로 위엄을 갖추고 있는 해태상 두마리가 비와 바람의 숱한 세월속에서도 제 모습을 잃지않고

        섬세한 조각 기술을 자랑하고 있다.

                                              공양간 문이 열려 있어서 안을 들여다 보았다. 

                                     옛날 어린시절의 부엌을 보는듯   활활 타고 있는 장작불이 경이롭기 까지 하다.

                          깔끔하게 정리된 넓은 부뚜막위에는 가마솥이

                     벽에는 부엌을 관장하시는 '조왕신'을 모신듯

                     아마도 곧 저녁예불에 올릴 마지밥을 하고계신지 밥을 짓는 공양주 스님 몰래....(스님 죄송합니다)

                                                                       삼층석탑 (보물제 678호)

                                                                             석조 석가여래좌상 ( 보물 제317호)

                         도량이 얼마나 넓은지 한눈에 다 들어 오지 않는다.

                         비구니 사찰중에 이렇게 웅장하고, 화려하며,  깨끗한 절집이 또 있을까?  

                         1958년부터 국내 최대의 비구니 승가대학이 들어섰다.

                                                             원응 국사비 (보물 제 316호)

         다소곳이 놓인 하얀고무신이 털신으로 바뀐 겨울날의 운문사!

         반쯤 열린 부엌문 사이로  가즈런히 보이는 그릇들

         산도,절도,절 앞의 밭이랑까지도 언제 보아도 한없이 정갈한 도량   겨울날의 산사풍경을

         아름답게 만들 하얀 눈이라도 내려 준다면  깨끗한 햇살에 더욱 눈이 부실텐데...

         학인스님들의 정갈하면서도 장엄한 예불소리 귓전에 맴돌제 청정한 노송의 숲길을 평온한 마음으로 걸어가본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은암 (천태산)  (0) 2010.01.30
모은암 (무척산)  (0) 2010.01.26
운문사의 겨울나무  (0) 2010.01.19
대비사의 겨울은....  (0) 2010.01.16
동림사 (신어산)  (0) 201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