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모은암 (무척산)

nami2 2010. 1. 26. 23:11

      무척산 '모은암'은 효심으로 지어진 절이다.

       2000년전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이 어머니를

       수로왕비가 인도에 있는 어머니를 , 김수로왕의 아들 중 하나가  어머니를 그리워하며,그 은혜를 기리기 위해

       지었다고 알려진  모은암이 2000년 세월을 모진 비 ,바람을 이겨내고 무척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무척산은 곳곳에 가락국의 전설이 담겨있는 가야불교의성지이다.

          이러한 곳에 어머니의 은혜에 보답하기위해  지어진 모은암에서 허황후가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다시한번 느껴보면 좋을 것 같다. 

                   평일에는 모은암 주차장 까지 차로 갈 수 있는 거리를 휴일이라는 것 때문에 이곳까지 걸어 갔더니

                   이 비석에 적힌 글도 눈에 들어오지 않을 만큼  힘이들었다.

                            암자의 지붕은 보이건만, 또 올라 가야한다니   

                            돌 계단을 오르고   또 오르고....

                                      가까운 것 같으면서도 오르막은  하늘 가까이 가는 느낌이다.   

                                      내려다 보니 정신마져 혼미해진다.

                                                   대웅전에는 아미타부처님이 본존불로 계신다.

                                                             산신각으로 들어가는 좁은 문

                 대웅전 앞의 검은색 바위는 허왕후의 어머니가  누워 있을것이라고 하여 '모암 바위'라고 한다.

                                                                            모은암 '관음굴'

                     모은암 관음굴은 '남근을 상징하는 '닝가'가 모셔져 있다.

                 이처럼 가야불교는 주로 왕족의 번창과 해탈을 기본으로 하는 .....

                  바위에 올려져 있는 또하나의 바위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암자 주위에는 온통 기암괴석으로 둘러 쌓여 있다.

             산사에 가서 들려오는 소리 중  제일 듣기좋은 소리는 ,바람이 불때마다 들리는 처마끝에 풍경소리이다. 

                                                              칠성각으로 가는길 역시 또 오르막이다.

                   범종에 새겨진 모습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범종에 새겨진 자애로운 어머니의 모습은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절을 지어졌다는 설화가 이해가 가는듯하다. 

                                                                         모음각 (범종각)

                           산신각으로 들어가는 문이  들어가면 꼭 동굴 문이 닫힐것만 같은 두려움이 생겼다.

                                  들어가보면 아무것도 아닌 그냥 전각만 있을뿐

                                  오랜세월이 지났다는 것이 한눈에 알 수 있었다.  

                     신비한 바위속에 파묻힌 산신각의 지붕마져도  바위에 자라난 이끼같은 풀도 신비스럽기만 하다.

                      암자로 오르는 길은 가파르고, 힘들어도 머지않아 이곳에도 새들의 아름다운 합창 소리가 들릴것이다.

                  꽁꽁 얼어 붙은 맑은 계곡물에도 송사리 피래미 물방개 가 보일 것이다.

                  몸이 춥다고 마음까지 추운 것은 절대 아닐것이다.

                  마음속에서도 밝은  내일의 희망찬 소리가 게속해서 들려올것이거늘

                  우리는 쓸쓸함에 대하여 두려워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봄이 온다는 느낌 하나만으로도 희망이니까   

             모은암은  김해시 생림면 생철리 180번지 무척산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14교구 범어사 말사이다

             모은암에 대해서는 두가지 전해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첫번째> 모은암은 가락국 제2대왕인 거등왕이 모후인 허황옥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창건한

                             가야시대의 절이라는것과 

             <두번째>  인도 아유타국에서 온 허황후가 김수로왕과 혼인하고,고국의 부모를 위하여 

                            부(父)암과  모(母)암을 세우고 , 자신의 뿌리를 알리기위해 자(子)암을 세웠는데

                            모암이 지금의 모은암이라는 설이다.

                             2000년의 오랜역사와 김해의 무척산 명당자리에 위치했으며,신비함이 가득한 사찰이다.

 

             모은암은 온통 기암괴석으로 이루워졌으며,숨이 찰 정도로 가파른 길을 올라 갈 만큼 높은곳에 있지만 

             경관이 수려해 겨울에 갔었음을 후회 할 만큼 아름다움에 손색이 없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대암 (운문사 산내암자)  (0) 2010.02.07
부은암 (천태산)  (0) 2010.01.30
운문사 (호거산)  (0) 2010.01.20
운문사의 겨울나무  (0) 2010.01.19
대비사의 겨울은....  (0) 201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