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지리산 연곡사의 봄비 내리는 풍경

nami2 2016. 4. 14. 23:51

                지리산 피아골 계곡의 아름다운 봄 풍경을 사진으로 남겨보고 싶어서 떠났던 휴일에

                야속할 만큼 하루종일 내렸던, 봄비 덕분에  안개속에 가려진 '연곡사' 풍경을 찍을 수 있었다.

                사진쟁이라면  상황에 따라 이런 저런 사진을 찍을수도 있는데....

                엉망진창이 된 하룻날에 우중충한 사진을 찍은 후

                그래도 한사람이라도 멋지게 봐주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 .....그냥 위로를 받고 싶어졌다.

                슬픔이 도사리고 있는 4월이라서 그런지, 주말마다 비를 내리게 하는 하늘이 약간 원망스러워진다.   

                                                                  지리산 연곡사 일주문

 

                                     6년전에 연곡사를 다녀올때와는 일주문 주변이 저런 모습이 아닌데....

                                     그리고 6년전에는 누각도 없었다.

                                     새롭게 단장을 한 연곡사의 풍경이 약간은 낯설어 보였지만

                                     비가 너무 내려서 낯가림을 할 여유가 없었다. 

                                   6년전에는 누각도 없었는데.....

                                   비 내리는 날에 '사찰을 잘못 왔었나' 착각할뻔 했다.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1017번지

                   지리산 피아골 계곡 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천년고찰 '연곡사'는  행정구역상의 주소는

                   전남 구례이지만, 경남 하동 화개에서 더 가까운 곳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 말사 '연곡사'는

                 신라 진흥왕5년(544)에 구례 화엄사의 창건주 연기조사가 창건하고, 사찰 이름을  연곡사라 했다.

                 화엄계 사찰이던 연곡사는  신라 말기 부터 고려 초기 까지 수선도량으로 이름이 높았던

                 사찰이라고 한다.

                 또한 연곡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 되었다가 인조 5년(1627년)에 소요대사 태능이 복구 하였다.

                   조선 영조 21년(1745년)무렵 연곡사는 왕가에 신주목으로 쓰이는 밤나무를 대는 

                   율목봉 산지소로 지정되어 있었다.

                   1895년년쯤에도 여전히 왕가에 신주목을 봉납 하였는데, 밤나무의 남용으로 문제가 생겨

                   망할 지경에 이르자 스님들이 절을 떠나 결국 절이 폐쇄되기에 이르렀다.  

                                                                 3층석탑(보물제151호)

                                    요사채  담장옆에 핀 '능수벚꽃'의 아름다움을  날씨 탓을 해보았다. 

                                                  맑은 하늘이 배경이었다면,능수벚꽃이 더욱 예쁠텐데

                                                  안개가 자욱한 지리산은 형체도 없다.

                                                                     연곡사 대적광전

                                         맑은 빗방울이 맺힌 노란 산수유가 멋스럽다.

                                                               삼성각

                                                 돌거북 모양의 '동부도비 (보물제153호)'

                                                                 동부도(국보 제53호)

 

                                       연곡사의 동부도(국보 제 53호),  북부도(국보 제54호)는

                                       한국의 부도 중에서 첫 손가락에 꼽힐 만한 작품들이라고 한다.

                                       누구의 부도인지,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아름다운 조각 솜씨를 더해 만들어진 두개의 부도는  한국 불교 예술의 수준을 말해주는

                                       귀중한 문화유산들이라고 한다.

                 

                                    지리산 자락을 바라볼 수록 아쉬움만 가득할뿐이다.

                               6년전에 연곡사에 들렸을때 관음전 건물은 없고, 터만 있었다.

                               기와불사를 한 후  6년만에 찾아 갔더니 관음전의 '관세음보살님'을 뵐 수 있었다.

                  연곡사 창건주이신 연기조사가 처음 이곳에 와서 풍수지리를 보았을 때

                  현재의 법당 자리에서 연못이 있었는데, 그 연못을  유심히 바라보던 중에 가운데 부분에서

                  물이 소용돌이 치더니 제비 한마리가 날아 가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 연못을 메운후

                  법당을 짓고 절이름을 연곡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

                                                                    연곡사 전경

                        연곡사는 6,25전쟁 때 지리산 피아골 전투로 다시 폐사 되었고

                        1965년에 소규모 전각들이 세워져  그 명맥을 유지 하다가 1980년 이후  본격적으로

                        복원 되었는데, 최근 들어서 완전히 다시 새롭게 고쳐서

                        고찰이지만 지금은 완전히 새로 창건된 신축 사찰 같은 느낌을 받았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천은사 (2)  (0) 2016.04.17
지리산 천은사(1)  (0) 2016.04.16
경남 고성 연화산 옥천사  (0) 2016.04.05
매화향기 그윽한 고성 옥천사  (0) 2016.04.04
경남 고성 운흥사 풍경  (0) 2016.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