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민속마을 성주 한개마을에서

nami2 2016. 1. 20. 14:09

              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123번지 일원 (중요 민속문화재 제 255호)

              성주 한개마을은 성산이씨들이  오랫동안 대를 이어 살아온  집성촌이다.

              한개라는 이름은  다른말로 '큰나루'라고 한다.

              예전 마을 앞에 있던, 나루 이름이 '한개'였기에 마을 이름을 '한개마을'이라고 했다고 한다.

              한개마을에 처음 터를 잡은 성산이씨의 조상은  세종 때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이니

              한개마을은 500년 쯤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입지조건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경북 성주 '영취산' 자락의 한개마을

                                                 북비고택(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4호)

                                               

                              솟을 대문 현판의 '응와세가'라는 글씨는 해사 김성근이 한지에 글씨를 쓴 것인데

                              그것을 판각한 것이라고 한다.

                                 경북 성주 한개마을의 북비고택을 '응와종택, 대감댁,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북비고택의 ' 북비'

 

                         북비 고택의 '북비'는 북향한 소박한 건물인데, 우측에서 부터 청2칸, 방 2칸이

                         배열되어 있는 4칸의 맞배, 홑처마, 홑집이다.

                         북비문은 사진을 찍지 못했다.

 

                         사도세자를 호위하던 무관 이석문이 살던 곳으로 이석문은 사도세자가 죽은 뒤

                         세자를 그리워 하며 조선 영조 50년(1774년)에 북쪽으로 사립문을 내고

                         평생을 은거하며 살았다.

                                          사랑채 뒷쪽에 '편액'이 달려있다.

                                         '간반유서(澗畔幽栖)'라는 ....

                                 북비고택(응와종택)의 사랑채는 곳곳마다 편액이 달려있다.

                               

                                 순조 21년에 손자 이규진이 안채와 사랑채를 새로 지었으며

                                 사랑채는 고종3년(1866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북비고택  안채

                                             북비고택의 '자혜당'

                                             자혜당은 책을 보관하는 곳이라고 한다.

                                                        장독대

                                                     사당

                       북비고택(응와종택)은 비교적 연대를 믿을 수 있는  건물로 한옥주택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좋은 자료라고 한다.

                       응와 이원조는 고종때 공조판서를 지냈다.

                       그래서 '대감댁'이 당호이다.

                       북비고택을  응와종택, 대감댁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한개마을  '교리댁' 입구 

                            

                         교리댁은 영조36년(1760년)에 세워져 마을에서 가장 오랜 내력을 지녔다고 한다.

                                                대산동 교리댁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3호)

                                               

                    교리댁은 조선 영조36년(1760년)에 '사간원, 사헌부 집의' 등을 역임한 이석구가 건립한 가옥이다.

                    그후 사랑채,사당, 서재는 1870년에 다시 고쳐 지었다.

                    교리댁이라는 이름은 이석구의 현손인 이귀상이 홍문관 교리를 역임한데서 시작 되었다.

                                                      교리댁 사랑채

 

                           교리댁 사랑채는 자연석을 쌓은 기단 위에 자연 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두칸의 4분합  덧문과 대청을 감추고 있고

                           두칸의 온돌방, 미닫이에 꾸민 亞자형 문살이 돋보인다.

                           정면5칸, 측면2칸의 사랑채를 비롯하여,대문채, 중문채, 서재, 사당이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안채는 정면 7칸, 측면1칸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북비고택  아랫집이 '교리댁'이다.

                              남인출신은 북비고택의 '응와'가  늦둥이인 막내아들 귀상을  노론 집안인 교리댁에

                              양자를 보냈는데, 이 양자가 홍문관 교리를 지낸 '교리댁'이 되었다고 한다.

 

                              안채는 출입금지라는 팻말이 있어서 사진을 찍지 못했다.

                                                 대산동 월곡댁(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6호)

                                            고택 처마 밑의 풍경이 ......

                                                      월곡댁 사랑채

                                         파란하늘에 연필로 그린 그림같은  겨울나무가 멋스럽다.

                                           사당

                                    월곡댁 사랑채에서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 앞의 장독대

                                                    월곡댁  안채

 

                    성주 한개마을의 월곡댁은  1900년경에 집주인 이전희가 창건했다고 하며

                    대문채가 남족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고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 한개마을의 돌담길  (0) 2016.01.23
경북 성주 한개마을에서  (0) 2016.01.21
경주 교촌마을에서  (0) 2016.01.18
청송 송정고택  (0) 2015.11.29
늦가을에 떠난 고택여행 '청송 송소고택'  (0) 2015.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