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성주 감응사

nami2 2016. 1. 19. 22:47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58번지

          감응사는 신라 애장왕3년(802년)에 창건한 고찰로서,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는 민속마을,

          성주 한개마을의 뒷쪽 영취산(331,7m)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감응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다.

                                 감응사 주차장에서 15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팻말에 400m는 잘못 기재된 것 같다.

                                 감응사 주차장에서  재미있는 산길을 쉬엄 쉬엄 걷다보면.....

                                   산모퉁이를 두번 돌아가면 감응사 지붕이 보인다.

                                   처음 찾아 가는 사람들은 꽤 긴장을 하는데, 잠깐 산길을 걸으면 된다.

                                  

                                   그런데 자동차 네비가 성주 한개마을 초입으로 데려다 놓는 경우가 있었다.

                                   그곳에서는 정말 500m 산길을 올라가야 한다.

                                   한개마을 앞 도로에서 우측 도로로 5분 정도 가면 '감응사'로 가는 팻말이 나온다.  

                                  돼지 입상이 감응사를 지켜주는듯......

                                  좁은 절벽 위에 감응사가 있는 것 처럼 보여진다.

                                          감응사에서 한참을 내려가면, 감응사 요사채가 있다.

                                                               절벽 위의 꽃이 예쁘다.

                                                     절벽 밑의 바위틈새에 핀 국화

                                                             감응사 대웅전

 

                   감응사 창건과 관련해서 창건 설화가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신라 제 40대 애장왕이 늘그막에 왕자를 낳았는데, 날 때 부터 눈이 나빠 앞을 볼 수 없었다.

                   온갖 약을 다 써보으나 소용이 없었는데

                   어느날 꿈에 나타난 스님의 말을 듣고 독수리가 날아가 앉은 이곳의 약수로 왕자의 눈을 씻게 하자

                   앞을 볼 수 있었다고 했다.

                   애장왕은 이를 부처님의 은덕으로 여겨 승려 체징으로 하여금 이곳에 사찰을 건립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또한 사찰이 있는 산 이름을 신령스런 독수리 산이라는 뜻에서 영취산이라 부르게 했으며

                   처음 절 이름을 감은사라 하였다가 후에 감응암, 감응사라고 개칭했다고 한다. 

                                                감응사 대웅전 內  작은 극락전

                                                             .

                  감응사는 창건후 임진왜란 때 전소되어 숙종2년(1675년)에 중창했고

                  그 이후로도 영, 정조 때 중수가 있었다.

                  지금의 전각들은 1970년 주지였던 평타스님이 신도들의 도움을 받아 세워진 것들이라고 한다.

                                          애장왕의 왕자 눈을 낫게 햇다는 전설이 있는 샘'옥류정'

                                          그리고 바위에는 '용왕상'이 새겨져 있다.

                                          약수가 솟는 옥류정 주변 암벽에는 각자(刻字)가 새겨져 있다.

                                                      감응사 삼성각

 

                             다른 사찰에는 삼성각에 칠성, 독성, 산신을  모시는데

                             감응사 삼성각에는 독성 대신 . 용왕을 모시고 있었다. 

                                                         범종각

                      대웅전 뒷곁에 위치한 '옥류정'에는 물맛이 차고 달아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고 하는데

                      감응사 약수는 신라 애장왕의 왕자가 물로 눈을 씻고 마셔서 효험을 보았다고

                      전해지는 약수라서.....

                      창건 설화가 전해져서 더욱 잘 알려진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