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부산 금정산 범어사

nami2 2016. 1. 14. 23:22

            부산 금정구 청룡동 546번지, 금정산 자락에 위치한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 18년(678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문무왕 10년(670년)에 의상대사가 당나라로 부터 공부를 마치고 귀국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을

            화엄사상으로 교화하기 위하여 전국에 세운 화엄십대 사찰중의 하나로서 문무왕 18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친구가 영원히 하늘로 떠나던날,  극락왕생 기도를 하기위해 오랫만에 범어사를 찾아갔다. 

                  범어사는 집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큰 절이며, 고찰이다.            

                                                      범어사 일주문(보물1461호)

 

                            일주문은 통상 2개의 기둥을 세운다.

                            그러나 범어사 일주문은 돌기둥 4개를  세워서 3칸이다.

                            우리나라 절집, 어디에도 이렇게 생긴 일주문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범어사 일주문응 '조계문'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광해군 6년에 세웠다고 전한다. 

                                                        범어사 천왕문

 

                           2010년 12월15일 방화로 천왕문이 소실되었으며

                           2012년 3월26일 방화로 소실되었던 천왕문을 15개월만에 복원되었다.

                            지하철 범어사역 주변까지는 비가 내렸는데

                            산 중턱의 범어사에는 부산에서 보기 힘든, 눈이 내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친구가 하늘로 떠나가는 날(발인)에 극락왕생 기도 하려고 찾아간 범어사에서

                            눈이 내리는 것을  그냥 멍하니 바라보았음을 오래도록 잊을 수 없을 것 같았다.   

                                                              범어사 불이문(不二門)

 

                      불이(不二)라는 뜻은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요

                      세속과 부처의 세계가 둘이 아니며, 선악 유무, 깨끗함과 더러움 등등...

                      상대적 개념에 대한모든 대상이 둘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불이의 진리로서 모든 번뇌를 벗어 버리고 해탈을 이루워 부처가 된다고 해서'해탈문'이라고도 한다.

                                                                          보제루

 

                          범어사 일주문, 천왕문, 불이문, 보제루를 통과하면 대웅전이 나온다.

                                         보제루 앞에서 바라본 금정산 '계명봉'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동국(東國)의 남산에 명산이 있어서  그 산정에 높이 50여척의 거암(巨巖)이 있고

                  그 바위 한가운데 샘이 있으며, 그 물빛은  금샘에다 물 속에 범천(梵天)의 고기가 놀았다.

                  그래서  산명을  금정산(金井山) 이라하고, 절을 '범어사'라고 한다고 하였다.              

                                                         범어사 대웅전(보물제434호)

 

                                           임진왜란때 불타버린 뒤 1602년에 중건 되었다.

                                           1613년에 중수한 맞배집으로서 다포식 건물이다.

                                           대웅전 법당에는 중앙에 석가모니불, 좌 우에는 미래불인 미륵불과

                                           과거불인 제화갈라보살이 혐시불로 모셔져 있다. 

                                    범어사 관음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53호)

                                                         범어사 3층석탑(보물 제250호)

                                                          

                           범어사 관음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은 범어사 창건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괘불대

                                      .

                                                                  범어사  석등(고려말)

                                                          범종각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숙종25년에 명학스님이 중창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한다.

                                                           범어사 지장전

 

                           20여년전에 하늘로 떠나간 조카의 극락왕생 기도를 처음으로 이곳에서 했었으며

                           5년전에 지인의 극락왕생 기도를 했으며

                           4년전에 친구 같은 지인의 극락왕생 기도를 했고....

                           2016년 1월 5일에 하늘로 떠나간 절친의 극락왕생 기도를 했던 범어사 지장전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시린 곳이다. 

                                                                  지장전 '지장보살님'

                                          팔상전, 독성각, 나한전

                                              독성각의 꽃문살

                      부산 금정산 범어사는 합천 해인사와 양산 통도사와 함께 영남의 3대사찰로 불리며

                      특히 선불교의 전통이 강해서 선찰대본산이라고 불린다.

                      근대의 고승인 경허스님은  1900년에 범어사 선원을 개설하였으며

                      역대 범어사를 거쳐간  고승들은  의상대사를 비롯하여, 원효, 표훈, 낭백, 명학스님과

                      경허,용성, 성월, 만해, 동산스님이다.

                      2012년에는 금정총림으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범어사 의 아름다운 풍경들  (0) 2016.01.16
금정산 범어사의 겨울풍경  (0) 2016.01.15
대구 운흥사의 겨울풍경  (0) 2015.12.31
대구 최정산 운흥사  (0) 2015.12.31
경북 영천 죽림사  (0)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