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익산 숭림사

nami2 2015. 7. 23. 23:41

                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 5번지, 전북 익산 함라산 자락에 위치한 숭림사는

                신라 경덕왕 때 진표율사에 의해서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숭림사는 우리나라에도 달마대사가 중국에 선법(禪法)을 전한 것과 같이 선풍을 드높이고자 하는

                옛날 스님들의 간절한 꿈이 절 이름에 담겨져 있는 사찰이다.

                숭림사의 숭림이란  중국의 달마대사가 9년간 면벽 수도했던  중국의 숭산(崇山) '숭'자와

                소림사(少林寺)에서 '림'자'를 따왔다고 한다. 

                                                             함라산 숭림사 일주문

                                                     숭림사의 스님들의 사리탑(종형부도군)

                                                                         숭림사 우화루

 

                                숭림사는 조선 명종9년에 불이나서 보광전이 탔으며,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도

                                숭림사가 금강하구 곡창지대를 지키는 처영스님 승병부대 전초기지였던 관계로

                                왜적의 표적이 되어 전각들이 소실되었으나 보광전만은 화를 면했다고 한다.

                                그 후 숭림사는 10년만에 광해군 5년에 겨우 '우화루'를 중건 했다. 

                                                     보광전 앞쪽에서 바라본 '우화루'

                                                               숭림사 범종각

                                                                          .

                                                               숭림사 종무소가 있는 '정혜원'                                                                

                                                               숭림사 보광전(보물 제825호)

 

                         숭림사 보광전은  고려 충목왕 원년(1345년)에 행여선사가 선종사찰로 창건 했으며

                         조선 순조 19년에 중수된 다포계 양식으로 건립된 맞배지붕이다.

                         기둥은 배흘림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숭림사 보광전 목조석가여래좌상( 유형문화재 제188호)

 

                             숭림사 보광전에는  목조석가여래상을 봉안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 광해군 5년(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 되어 있으며, 목조불상으로 크게 조성한

                             조선 후기의 대표작 불상이다.

                             부처님은 결과부좌를 하고 머리에는 나발과 육계가 있으며, 이마에 백호가 있다.

                             법의는 통견이며 가슴 밑에 군의대가 있고, 수인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나한전

                                               나한전의 나한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나한전에는 중앙에 석가모니상과 가섭존자와 아난존자상을 중심으로 좌 우에

                                   16나한상, 범천상, 제석천상, 동자상 ,인왕상 등 총 29상이 봉안되어 있다.

                                   모두 17세기에 조성 된 것으로 추정된다.

                                       숭림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말사이다.

                                                                  숭림사 영원전(지장전)

                                            영원전의 지장보살좌상및 권속(유형문화재 제189호)

 

                                 영원전에 봉안된  목조의 결가부좌를 한 좌상 '지장보살상'은 인조12년(1634년)에

                                 조성되었다고 한다.

                                 나무 뼈대 위에 흙을 붙여 만든 소조상으로 좌상과 입상으로 조성된 권속은

                                 도명존자, 무독귀왕, 시왕상, 시자, 동자상,금강역사 등 24구에 이른다.

                                                                    숭림사 전경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문수사  (0) 2015.08.05
익산 심곡사  (0) 2015.07.29
진안 천황사 부속암자 '남암'  (0) 2015.07.19
전북 진안 천황사  (0) 2015.07.18
진안 부귀산 고림사  (0) 201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