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안동 천등산 개목사

nami2 2013. 11. 4. 23:16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888번지,  천등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개목사'의 원래 이름은

                흥국사였으며,  통일신라 신문왕 때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당시 안동 지역에 앞을 보지못한 소경들이 많았는데, 절을 건립하고 비보사찰을 삼은 후에 소경들이

                생기지 않았다고 하여 절이름을 흥국사에서 개목사(開目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개목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말사이다. 

               어느 시골집 대문을 들어서는 것 같은 개목사 입구에는 '천등산 개목사'라는 현판이 절 집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늦가을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낙엽은 지고, 바람에 나부끼는 억새의 물결....

                                         '천등산 개목사' 여염집 대문같은 것이  일주문 역활을 한다.

                                 비슷 비슷한 일반 사찰의 대문에는 일주문을 시작으로 금강문, 천왕문 이 있다. 

                                 개목사에는 무시무시한 금강역사도 아니 계시고, 사천왕들도 안계신다.

                                 대문을 들어 가기전에 꽃을 바라보니 마음이 차분해진다

                                                                     개목사 요사채

                                                  자그마한 개목사 산령각

                                       옛날 외갓집의  사랑채 툇마루 같은 문루에 연등이 가득하다.

                                         아무도 없는 쓸쓸한 원통전 뜰앞은 국화꽃으로 장식 되었다.

                                                                  개목사 원통전 (보물 제242호)

 

                                       원통전은 조선 세조3년(1457년)에 건립된 목조건물이다.

                                       규모는 정면3칸, 측면 1칸이며, 단층맞배지붕 형식이다.

                                                         원통전의 법당

                                                           개목사 원통전

 

                      이 절은 본래 흥국사로 신라 신문왕 때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스님이 동굴에서 도를 닦던중에

                      천녀(天女)의 도움으로 도를 깨쳤으며, 그런 연유로 여기에 큰 절을 세웠다고 한다.

                     그런데 옛날 안동 지방에 소경이 많았는데 여기에 절을 세운 후에 눈병이 없어져 개목사라 전한다.  

                                  그 옛날 개목사는 규모가 아주 큰 절집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텅 빈 터에 국화꽃만 향기를 내뿜을뿐, 너무 쓸쓸했다.

                                                 분위기 있는 개목사 요사채의 돌담 

                                         개목사의 늦가을을 생각하면  돌담 옆의 단풍을 잊지못할 것 같다.

                                         아름답다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다.

                                               쓸쓸한 요사채 툇마루와  툇마루 밑의 하얀 고무신

                             개목사에는 해바라기가 많이 심겨져 있었다.

                             어린시절에는 해바라기 씨를 잘 까먹었지만 ,지금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정겹기만하다. 

                                       이 길을 따라가면 안동 봉정사로 갈 수 있다.

                                       개목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절집 건축물이 있다는 안동 봉정사와

                                       가까운 거리에 있다.  

                  지난해 봉정사에 갔었을 때, 봉정사 주변에는 국화꽃이 많이 피었었다.

                  개목사와 봉정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인지 개목사에도 국화꽃이 많이 피어 있었다.

                  봉정사에서 동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약 1km정도 오르면 개목사에 도착할 수 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와룡산 유하사  (0) 2013.11.06
안동 오도산 연미사  (0) 2013.11.05
안동 금계산 봉서사  (0) 2013.11.01
아름다운 사찰 영주 부석사 (2)  (0) 2013.10.30
아름다운 사찰 영주 부석사 (1)  (0) 2013.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