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김치 담그는 날

nami2 2012. 6. 10. 00:33

         하는 일도 없이 바쁜척 하면서 살다보니 냉장고 안에는 김장 때 담근 묵은 김치만 들어 있었다.

         고작해야 하루에 한끼 정도 밥을 먹기 때문에  김치 담그는 것에 대해서도 무관심한 것인지

         아니면 김치담는 것을 잊고 살았던 것인지

         반찬 타박을 하지 않는 순한 양 같은 가족 덕분에 언제 어느때 김치를 담가야 하는지 조차 까먹을 때도 있다.

         소머리국밥을 먹으러 갔던 식당에서 곁들여 나왔던 알타리김치를 맛있게 먹은 후 '알타리무'를 사왔다.

         김치를 담글줄 모르는 것도 아닌데, 너무 게으름을 피운 것 같아서 가족에게 그냥 미안한 마음이었다.            

                                                                            맛있게 잘 익은 총각김치

                                    총각김치 재료는   '달랑무'라고도 하고, '알타리무'라고도 하는데

                                    요즘은 마음만 먹으면 마트에서 언제든지 구입을 할 수 있다.  

      

                                      요즘은 알타리무에 달린 무청은 질겨서 먹지 못하기 때문에 절반 정도는 버려야 했다.

                                      총각김치와 오이김치를 담그려고 '알타리무 2단',조선오이 5개를 사왔다.

                                      알타리무를 손질하면서 대개는 껍질을 벗기는 경우가 있는데

                                      껍질을 칼로 긁거나 껍질을 벗기면 무가  물러져서 맛이 엉망이 되는 경우가 있다.

                                      무 껍질이 약간은 거칠어도 수세미로  문질러서 닦아서 소금에 절인다.

                                   처음 부터 무를 잘라서 소금에 절이면, 알타리무 특유의 단맛이 모두 빠져나가기에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씻은 후 먹기좋게 자르면 된다.

                                   오이도 알타리무와 같이 소금에 절였다.

                                    소금에 절여서 무청이 짭짤하면 알타리무도 어느 정도 간이 맞는다.

                                    소쿠리에 받쳐서 물기를 빼면서, 먹기좋은 크기로 썰면 된다. 

                                   미리 시간 있을 때 양념 해놓으면  재료를 사다가 아무때나  김치를 담글 수 있다.

 

                                   김치양념:고추가루, 새우젓+맑은 멸치액젓,찬밥 갈은것,

                                                 양파,붉은고추,청량고추,마늘,생강을 믹서에 갈아서 넣으면 된다. 

                                  게으름쟁이 소리를 안들으려고, 꼼지락 거렸더니 김치가 하늘에서 떨어진 것 같다.

                                   총각김치  담그면서 대충 꼼지락거렸더니 맛깔스런 오이김치도 한통 생겼다.

                                        이렇게 김치를 담가 놓으니까 쳐다만 보아도 배가 부른것 같다.

                                      날씨가 따땃해서 이틀 정도 되어서 맛이들은 총각김치를  먹을 수가 있었다.

                                      우선 라면 삶아서 시식을 했다.

                                               오이 김치는 하루 정도 실온에서 있다가 냉장고로 넣었고

                                         총각김치는 이틀 반나절 정도 있으니까  먹기좋게 맛이 들어서

                                         선지해장국을 만들어 놓은 것이 있어서  곁들여 먹었다.

                                         조금만 꼼지락 거리면 식탁 차리는 것에도 손이 부끄럽지 않는데

                                         매일 같이 바쁘다는 핑계로  김장김치 묵은지를 먹고 살았으니 약간은 챙피스러웠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 엑기스 만들기  (0) 2012.06.24
여름 밑반찬  (0) 2012.06.20
새콤 달콤 간장 장아찌  (0) 2012.05.22
봄에만 먹을 수 있는 음식  (0) 2012.04.25
골뱅이 무침  (0) 201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