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새콤 달콤 간장 장아찌

nami2 2012. 5. 22. 23:25

                          눈이 부시게 햇살 좋은 5월에는 산채들이 많이 쏟아져 나온다.

                          욕심 같아서는 쏟아져 나오는 산채들을 햇볕에 잘 말려서 묵은 나물을 만들고 싶었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아서 간장 절임을 만들어 냉장고에 보관하기로 했다.

                          새콤 달콤 간장 소스를 만들어서 장아찌를 만들어 놓으면 고기를 먹을때나

                          입맛 없을때 찬물에 밥말아서 반찬으로 먹는다면 괜찮은 맛이 될것 같아서 몇가지 만들어 보았다.

                                 곤드레나물을 너무 많이 사와서 나물을 먹기에도 그렇고, 쌈을 싸먹는 것도 그렇고

                                 생것으로 냉장고에 넣어두면 얼마 못가서  버려질 것 같아 저장식품을 만들기로 했다.

 

                            지난해 쬐끔 만들었던 곤드레 장아찌를 고기 구워 먹을때 맛있게 먹었기에 또 만들기로 했다.                      

                                  간장소스는 진간장과 물의 비율은 2:1이지만,기호에 따라 담는 사람의 입맛에 따라 다르다.

                                  설탕과 식초는 방부제 역활도 되므로 달콤 새콤하게 느껴질 정도가 알맞다.

                                  소스의 간이 너무 싱거우면 재료가 물러서 버리게 되므로 어느 정도는 짭짜름해야 된다.

                                    

                                     1,플라스틱 용기에 씻어서 물기를 제거한 곤드레를 넣고  간장을 부었을 때

                                        위로 뜨지않게 비닐로 덮고, 돌이나 무거운 것으로 올려놓는다.

                                     2,끓는 간장을 불에서 내려 바로 붓는다.

                                     *야채 장아찌는 뜨거운 간장을 부어야 맛이 들은 장아찌가 아삭거린다.  

                                     뜨거운 간장을 부었다가 하루 저녁 지났을 때의 '곤드레'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일주일 후에  간장을 냄비에 부어,끓여서 식은 후에 붓는다.

                                    

                                             며칠전에는  풋마늘에 간장을 끓여 붓고, 장아찌를 만들었다.

                                    쌉싸래한 어린 머위 잎과 마늘쫑을 간장으로 장아찌를 만들어 보았다.

                                    고기를 먹을때 질리지 않고, 깔끔하게 먹으려면 약간은 꼼지락 거리는 것도 좋은 일이다. 

                                         새콤 달콤 간장 장아찌 종류로 풋마늘, 마늘쫑,어린 머위 잎,곤드레를 담아 농았으니

                                 이제 남은 것은 마늘 장아찌, 오이지, 양파장아찌를 담으면 올해의 장아찌 종류는 끝이 난다.

                                 더러는 케일이나 민들레 잎으로 장아찌를 담그지만

                                 장아찌만 먹고 살 것은 아니기에 더이상에 다른 것에는 욕심을 부리지 않기로 했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밑반찬  (0) 2012.06.20
김치 담그는 날  (0) 2012.06.10
봄에만 먹을 수 있는 음식  (0) 2012.04.25
골뱅이 무침  (0) 2012.04.17
전복죽  (0) 2012.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