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금산 남쪽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는 보리암은
신라시대 신문왕3년(683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뒤
산 이름을 보광산이라고 하였고, 초당의 이름을 보광사라고 하였다.
그 뒤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개국하게 된 것을 감사하는 뜻에서
보광산을 금산(錦山)이라 하였고
1660년(헌종1년)에는 이 절을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삼고,보광사를 '보리암'이라고 했다고 한다.
보리암은 '강화도 보문사, 낙산사 홍련암'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관세음보살 기도 도량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 쌍계사 말사이다.
보리암 해수관음보살상
.
멀리 남해 상주 해수욕장이 발아래로 내려다 보인다.
삼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74호)
신라 석탑 양식을 보이고 있어서 '신라석탑'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고려 초기 작품으로 감정되고 있으며
1974년 2월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 되었다.
대장봉
보리암 바로 뒷쪽에 우뚝 솟은 큰 바위로서 위엄있게 창공을 찌르고 서있는 모습이
대장을 연상시킨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대장봉 왼쪽에 용호용주형의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있으면 반드시 대장이 있다고 전해진다.
상사암 (금산 27경)
이 바위는 조선조 19대 숙종대왕 시절에 전라남도 돌산지역 사람이 남해에 이거하여 살았는데
이웃에 사는 아름다운 여인에게 반하여 상사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게 되었다.
남자가 죽을 지경에 이르자 아름다운 여인이 이 바위에서 남자의 상사를 풀었다 하여
이 바위를 상사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일월봉과 화엄봉
산령각
.
보리암 간성각이 숲 사이로 희미하게 보였다.
보리암 극락전
기암괴석들과 나무 숲에 쌓여진, 작은 전각이 멀리 희미하게 보인다.
이곳에서 태조 이성계가 '조선'이라는 나라를 개국하기 위해서 기도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거리는 약 200m 정도 였지만, 급경사의 좁다란 산길은 걷기 힘들었다.
이번에는 다녀온 길이라서 내려가다가 도중하차 했지만
몇년전에는 전각 까지 무사히 갔었는데, 돌아오는 길에는 다리가 후들거릴 만큼 급경사였음이 생각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가을날의 양산 통도사 (0) | 2019.10.15 |
---|---|
양산 통도사의 국화향기 (0) | 2019.10.13 |
9월이면 생각나는 '묘관음사'의 꽃무릇 (0) | 2019.09.27 |
범어사 산내암자 '청련암'에서 (0) | 2019.09.25 |
초가을날의 범어사 풍경 (0) | 201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