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양산 통도사의 국화향기

nami2 2019. 10. 13. 23:14

            음력 9월 초하루에 통도사를 갔어야 하는데, 집안일 때문에 몇일이 지나서 다녀와야 했었다.

            몇차례 강한 태풍이 다녀간 흔적이 남아 있는 통도사 숲길이었는데

            마침 통도사로 가는 날에는 개산대제 준비로 매표소 입구를 지날때 부터 많이 어수선 했었다.

            영축총림 통도사는 창건 1374년을 맞이해서

            9월22일부터 10월28일까지, 통도사의 창건주이신 자장율사를  기리는 개산대제를 개최한다고 했다.

            개산(開山)은 '산문(山門)'을 여는 일, 즉 절의 창건을 의미한다.

            개산대제(開山大祭)란 절의 창건일을 기념하여 여는 큰 법회를 말하며

            또한 사찰을 창건한 스님이 입적한 날을  기리는 입적 기일 법회를 의미하기도 한다는데...

            신라 선덕여왕15년(646년) 자장율사가 영축산에 금강계단을 쌓아 부처님의 사리와 가사를 봉안 하고

            통도사의 산문을 연 음력 9월9일을 기념하여 '개산대제'를 개최한다고 했다.

                개산대제를 맞이하여 통도사는 온통 국화꽃 속에 파묻혔다.

                20여년 동안 통도사를 다녔는데, 이런 풍경은 처음 보는 것 같았다.

                 국화꽃이 활짝 필 즈음에는 어린왕자의 모습이 무척 행복해 할 것 같았다.

                                      영산전 앞

                      아직은 꽃이 핀 것 보다는   꽃이 피지 않은 것이 더 많지만

                      음력 10월 초하루날에는  제법 예쁜 국화꽃 사진을 찍을 것 같다.

                    .

                      관음전 석등에서 부터 대웅전 앞 까지....

                                                    관음전

                        .

                     무수한 세월이 지나갔음을 알려주는 '정료대'의 이끼 낀 모습이 국화꽃과 잘 어울리는 듯... 

                                      부처님 진신사리탑 앞

                                 통도사 창건설화가 담긴 '구룡지'

                                                      금강계단

                                     응진전과 금강계단

                                                     개산조당

 

                개산조당은 해장보각의 조사문(祖師門)으로 해장보각에는 자장율사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대국(大菊) 보다는 소국(小菊)이 예쁜데, 소국이 너무 많다보니 대국이 훨씬 예뻐보이는 것 같았다. 

                                                  용화전 앞 봉발탑(보물 제471호)

 

                 불가에서는 스승으로 부터 제자에게 법을 전함의 표시로 게송을 지어준다던지

                 또는 가사나 발우를 전하는데, 부처님의 의발(衣鉢)을 56억7천만 년 뒤에 출현 할

                 용화전의 주불인 미륵불이 이어받을 것을 상징한 조형물이다.

                        통도사의 창건주이신 자장율사의 영정을 봉안한 '해장보각' 앞

                    .

                   .

                         .

                      황화각 앞에  국화꽃이 활짝 핀 10월 중순쯤이면 지금 보다 훨씬 예쁠 것인데

                      공교롭게도 통도사를 다녀온뒤, 강한 태풍 '미탁'이 다녀갔다.

                      어떤모습으로 자리를 잘 잡고 있는지 궁금했지만

                      음력 10월초하루, 통도사 가는 날 까지, 기다리기에는 시간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