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구미 쌍암고택에서

nami2 2016. 7. 28. 00:27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239번지에 위치한  쌍암고택은

              지난 5월23일 KBS 인간극장에서 '오래된 아버지의 집'이라는 제목으로  방송을 했었다.

              마침 구미 해평면에 볼일이 있어서 갔다가,  지나는 길에 쌍암고택에 잠시 들렸었다.

              월요일 부터 금요일 까지  하루도 빠지지 않고 방송을 보았던 때문인지

              반갑게 맞이 해주는  고택의 종부님과  종손 어르신이 낯설지 않고, 너무 반가웠었다.

               쌍암고택은 약 300여년 세월동안 숱한 일을 겪으면서도  고풍스러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멋스런 고택이었다. 

                   오랜 세월을 지내오면서 쌍암고택은 고택에서 볼 수 있는 솟을대문은 없었다.

                   일반집 대문 같은  철제대문안으로 들어가면 사랑채와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이  있었다.

                                                             쌍암고택의 중문

                                        중문간채에서 마주한 안채의 중심을 잡은 대청은 비교적 큰 대청이었다.

                                        그 좌우에 방과 부엌을 배치한 ㄷ자형의 안채 모습이다.

                                          안채 대청마루에서 눈에 띄는 것이 밥상이었다.

                                          옛날식 밥상이.......인상적이었다. 

                      인간극장 방송할때, 들기름을 발라서 반질반질 윤기가 나게 닦던  '대들보가 생각났다.

                      이댁의 아드님께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대들보를 닦던 모습이 생각난다고 했더니

                      종부님께서 환하게 웃으시던 모습이 생각난다.

                                           주인 어르신께서 애완용으로 키우신다는 '사슴'

                                           낯선 사람이 왔다고, 바라보는 모습이 예뻐서 서로 쳐다보고 서있었다.

                                중문간채의 방바닥은 옛날 어린시절에 콩땜을 했던 장판이었다.

                                                                 사랑채

 

                            쌍암고택의 배치는 사랑채는 남향이고, 나머지는 동향이라고 했다.

                                                                              사당                    

                                              대문  뒷쪽의 텃밭에 핀 배롱나무꽃

 

                                              예전에는 이곳에 연못이 있었다고 한다.

                                              연꽃 대신 배롱나무꽃도 예쁘다.

                                                       곧 가을이 올 것 같은 .....

                                                   행랑채와 사랑채 사이에 핀 원추리꽃이  고택과 잘 어울린다.

                                            참깨밭 앞으로  핀 원추리꽃이 참으로 예뻐 보였다.

                                                 쌍암고택에서 바라본  앞집 '북애고택'

                                                         북애고택(경북민속문화재 제41호)

 

                            영 정조 시대의 실학자 최광익이 정조 12년(1786년)에 지은 둘째아들의 살림집이었으나

                            나중에 그 형과 집을 바꿨다고 한다.

                            쌍암고택의 북쪽 언덕에 있다하여 '북애'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쌍암고택이라는 이름은 원래 대문 앞에 있던 두개의  바위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대문이 위치하고 있던 땅은 다른사람에게 매매되어, 쌍암 중 하나의 바위는 다른 가옥의 담이 되었고

                     또하나의 바위는 주초석이 되어 땅에 묻혔다고 한다.

                     쌍암고택은 중요민속 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미 북애고택  (0) 2016.08.01
구미 쌍암고택의 사랑채 풍경  (0) 2016.07.29
경북 청도 선암서원에서  (0) 2016.07.20
비내리는 날의 고택 풍경  (0) 2016.07.18
돌담길이 아름다운 경북 군위 한밤마을  (0) 201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