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여행

돌담길이 아름다운 경북 군위 한밤마을

nami2 2016. 7. 8. 00:56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756번지

             내륙의 제주도라고 불리는 한밤마을은  팔공산 자락에 있는데, 마을 전체가 돌담길로 되어 있다.

             이제는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한밤마을의 돌담길은 구불 구불 미로처럼 이곳 저곳으로 이어지면서

             거의 이끼 낀 돌담들이 총연장 4km 정도를 멋스럽게 장식되어 있었다.

             오래전에  대홍수가 나면서 산사태와 함께  팔공산에 있는 돌들이 마을로 떠내려와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집 주변에 돌담을 쌓다보니 분위기 있는 돌담 마을이 되었다고 한다.  

                                                      한밤 마을 입구에 있는 '성안문'

 

                                     한밤마을의 상징 조형물로 쓴 '성안'은  팔공산의 팔(한문)자를 본떠 만든 문인데

                                     꼭대기에 기러기 세마리를 앉혔다. 

                                                              경북 군위 한밤마을의 돌담 풍경

                      한밤마을의 구전에 의하면

                      서기 950년경 신천 강씨가 살던 이곳에 홍란이라는 선비가 이주해오면서 대야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1390년경 홍씨 14대손 홍로가 역학적으로 밤 '야'자가 마을에 과히 좋지 않다며

                      대율로 고쳐 불렀다.

                      한밤은 대율이란 글짜의 '이두'표현법이라고 한다.

                      

                      한밤이란 순수한 우리말 지명으로 더 자야 한다는 뜻인데

                      본래 '심야' 또는 '대야'라고 불리던 곳이다.                         

                                                     .

                                                  돌담 위에 능소화를 그림으로 그려보고 싶다.

                                                                           호두나무

                                                                                  원추리

                                                               남천고택(생매댁)

 

                              100년 이상된 한옥이 20채가 넘는 한밤마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집이다.

                              아쉬운 것이 있다면, 대문에 자물쇠가 채워졌다는 것이다.

 

                              조선 후기(1836년)에 지어진 것으로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357호)로 지정되었다. 

                                          남천고택을 구경하고 싶었지만, 문이 잠겨서  대문 주변을 사진 찍었다.

                                      남천고택 두그루의 은행나무가  많은 세월을  지내온 것 같다.

                                      인고의 세월속에서는  겪지 않아도 될 풍파를 많이 겪은듯하다. 

                                       남천고택의 뒷곁  자두나무에 먹음직스런 자두가 주렁주렁이다.

                      한밤마을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에 자리한 전통마을이다.

                      팔공산에서 흘러온 물줄기가 한밤마을의 동쪽과 서쪽 영편에서 지나다가 북쪽에서 만나

                      남천을 이룬다.

                      이 마을은  950년경 남양홍씨에서 갈려나온 부림홍씨의 시조 홍란이란 선비가 입향하면서

                      촌락을 형성하였다.

                          거의 이끼 긴 돌담길을 따라 걷다보니 이곳이 팔공산 자락이라는 것이 믿기지 않고

                          어느 섬마을의 돌담길을  걷는 것 같았다.

                          .

                               맑은 하늘과 꽃 한송이만 피어 있어도 너무 멋스런 돌담길을 걷게 된다. 

                          .

                                                돌담과  잘 어우러지는 접시꽃이 예쁘다.

                                                                동천정

                           허물어져가는  고택의 돌담도 그냥 멋스럽게 보여서 사진을 찍게된다.

                                                   돌담길을 걸어가는 두분의 모습이 아름다웠다.

                                                                   율리정사   '경의재'

 

                          조선 정조 을해년(1779), 남천공이 종친들과 힘을 모아 공당을 건립하고 이숙이라 불렀다.

                          이숙이란, 마을학교를 뜻한다고 한다.

                                                                   대청

 

                         이곳은 조선 전기에 지어진 것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2호로 지정 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10년(1632년)에 중창 되었다.

                         효종과 숙종 때 고친적이 있고, 1992년 해체 복원하였다.

                         본래 학생들을 가르치전 곳인데, 지금은 동네 사랑방 역활을 하고 있다고 한다.

 

                         구전에 의하면, 한밤마을은 통일신라시대 때에는 사찰지였었고

                         이곳 대청은  종각이 있던 곳이라고 ...전해져 오고 있다고 한다.

 

'고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청도 선암서원에서  (0) 2016.07.20
비내리는 날의 고택 풍경  (0) 2016.07.18
경남 합천 묵와고택에서  (0) 2016.05.11
충북 영동 김참판댁 고택  (0) 2016.05.08
봄꽃이 핀 괴시리 전통마을  (0) 2016.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