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

겨울 바다의 흰갈매기

nami2 2016. 1. 12. 00:16

              동해 남부에 살면서 새해 첫날에만 일출을 본다는 것은 그만큼 바다라는 것에 큰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그냥 창문 넘어로 바다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는 비난을 받을지 모르지만  

              거센 바람과, 비릿한 냄새, 태풍, 습기.....

              늘 반복되는 이런 것들은 바닷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말못하는  고통이다.

              그래서 그냥 바다이니까 바라볼 뿐, 아무런 느낌은 없다.

              그렇지만 아주  가끔, 일년에 한두번은  바닷가에 나가서 사진을 찍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정서적으로 마음 속에 변덕이 생길때는 어쩔 수 없이  발걸음은 바다로 향하게 된다.

              바닷가에 야생화가 필때, 쪽빛 바닷물이 하늘색과 같을때, 가을바다에 해국이 필때

              그리고 먼동이 틀 무렵의  바다가 보고 싶을때.....  

                                              귀여운 녀석의 이름은 '붉은부리 갈매기'이다.

                                        해가 뜰 무렵, 아직 어둠이 남아 있을때  바다풍경이다.

                                     수평선이 붉어지면서  하늘이 열리고 있는듯한.....

                                     아침바다 풍경에

                                     날개짓을 하는 갈매기들이  구름속으로 나타날 해를 마중하고 있다.

                                        밤새 조업을 하고 있는  인근 해역의 고깃배와

                                        먹잇감을 구하려고 대기하고 있는 갈매기떼

                                            새우깡을 던져 주었더니 멋진 장면을 연출하는 갈매기떼

                                    해안가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겨울 철새 '붉은부리 갈매기'는

                                    9~10월경 우리나라에 날아와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3~4월경에

                                    살던 곳으로 날아간다고 한다. 

                                      붉은부리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 갈매기속으로 분류되는  조류일종인데

                                      부리가 붉은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구름을 헤치고  아침해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해가 길어지는 봄철에서 여름철에는 가끔 해안가를 산책하면서

                                       일출을 바라볼 시간적 여유가  생길때가 있지만

                                       겨울철에는 성인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아침산책이 위험하다고 해서

                                       특별한 날 아니면  바다에 나가서 일출을 보게되는 일이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