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부처님 오신날 '양산 통도사'의 저녁 풍경

nami2 2015. 5. 31. 23:43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번지, 양산 통도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 15교구 본사로서

                신라 선덕여왕 15년(646)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통도사는 삼보(三寶) 가운데 으뜸인 불보(佛寶), 즉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를

                금강계단에 봉안하고 있기 때문에  대웅전에 불상이 없는 사찰로 유명하다.

                대웅전 바로 뒷쪽에 통도사의 중심이 되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은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모시고 온

                부처님의 정골 사리를 봉안하였으므로

                이로인해 통도사가 불보사찰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고 한다. 

                               다른사찰에도 부처님 오신날의 저녁 풍경이  아름답겠지만

                               부처님 오신날의 통도사 저녁 풍경은 유난히 아름답다. 

                         일반적으로 흔한 초파일 연등이 아니라 통도사에서만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연등이

                         해마다 초파일에는 가급적이면 저녁에 가보고 싶은 곳이다.

                                             통도사 설법전에서 대웅전 까지 이어진 연등

                                                 하얀 영가등을 바라보면 늘 부모님 생각이 난다.

                                                                 통도사 명부전에 달아 놓은  극락왕생등

                                                          오색연등

                                                               불이문 앞의 장엄등

                                                            통도사 삼층석탑( 보물147호)

 

                                              2중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이룬 일반형 석탑으로서

                                             신라말, 고려초의 탑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일주문에서 천왕문 까지 이어지는  아름다운 연등

                                        통도사 낙화놀이가 부처님 오신날 저녁을 가장  멋스럽게 장식한다.

                                        낙화놀이는 민간에서는 액운을 없애준다는 풍습이 있고

                                        사찰에서는 무지와 번뇌를 태워서 흘러보낸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통도사 주지스님을 비롯하여  7국장스님들의 염불속에서

                                        통도사 삼성반월교 다리 위에서 낙화놀이 점화를 했다.

                              낙화놀이에 사용되는  연등옆에 매달은 굵고 짧은 낙화줄은

                              한지와 숯과 소금을 넣아 말아 놓은 것이라고 한다.

              

                              점화를 한후 10여분이 지나서 불꽃들이 냇물 위로 떨어지는 풍경이다.

                              많은 사람들로 인해서 본격적인 낙화놀이 풍경은 찍을 수 없었고

                              10여분이 지났을때의 풍경을 겨우 사진으로 남길 수 있었다.

                                           낙화놀이의 멋진 장면을 사진으로 찍지 못해서 많이 아쉬웠다.

                                      저녁 8시쯤, 통도사 일주문 앞,  적멸보궁 사리탑 장엄등

 

                                      어둠속의 장엄등은 더욱 아름다웠다.

                                      부처님 오신날의 저녁풍경은  말로 표현이 안될 만큼 아름답다.

                                      극락세계에 잠시 잠깐 들려본 것 같은 장엄함은

                                      해마다 부처님오신날이면, 통도사 저녁 풍경을 잊지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