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각사에 가면 무언가 다른 분위기의 산사일 것이라고 기대를 하고 갔지만, 기대이상으로 쓸쓸했다.
평지 도로변에 위치한 인각사라는 절 이름이 참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절집보다는 절 뒤쪽의 너른 들판이 오히려 '인각사'라는 이름이 잘 어울리는 것 같았다
인각사는 허무하다 싶을 정도로 공간이 작고,짜임새가 없으며
신축 건물을 포함한 몇채의 건물들이 이리저리 흩어져 있고,석불,부도와 3층 석탑이 아무렇게나
놓여져 있기에 잘 정리 해주고 싶은 안쓰러운 마음마져 들었다
전체적으로 스산하고 쓸쓸한 느낌을 주지만,그래도 일연 스님의 부도와 비를 보며
자그마한 흔적이나마 돌이켜 볼 수 있었다
그래도 사람의 마음을 끌어드리는 무언가 때문에 삼국유사를 집필한 일연선사도
인각사를 마지막 쉴 곳으로 정했었나보다
인각사 '대웅전'
군위군과 영천시의 경계에 자리한 화산의 끝자락 위치한 '인각사'는
절의 들어선 위치가 기린의 뿔에 해당한는 지점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인각사 앞 개울은 물이 맑고,경치가 좋아서 여름에는 물가에서 피서를 즐기기 위해 발길이 분주하다
흔히 '학소대'라고 불리는 이 바위는 '인각사'를 보호하듯 사찰 정면에 위치 하고 있다
깎아지른 절벽위에 담쟁이 덩쿨이 보기좋게 살아가고 있다
해마다 단풍철이 되면 야생 담쟁이가 붉게 물들어 동양화를 그려놓은듯한 화폭으로 만들어 버린다
인각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643년(선덕여왕 12년) 원효가 창건한 절로써, 고려시대의 '삼국유사'를 집필한
일연스님이 말년에 이곳에 머물다가 입적한 곳이기도 하다
일연스님은 우리의 고조선 부터 후삼국 까지의 역사 속에 그냥 지나칠뻔 했던
역사 '삼국유사'를 집필 끝내시고,아침공양을 마치고
산길을 산보하듯 이곳 인각사에서 열반의 바다를 건너 조용히 입적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