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전복죽

nami2 2012. 4. 13. 11:52

               전복에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부미용,자양강장,산후조리, 허약체질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서

               식용,약용으로 쓰이는 식품이다.

               봄철에 자꾸 사라지려는 입맛을 붙들기 위해서 싱싱한 전복이 눈에 띄기에 '전복죽'을 끓여 보았다.

                                   전복은 요오드 함량이 높기 때문에 한방에서는 고혈압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또 몸이 허약할 때 전복죽을 끓여 먹으면 기운이 나며, 소변이 잘나오게 되어

                            황달이나 방광염에 도움이 된다.

                            목이 타거나 가슴이 메이는 증세를 가라앉히고 간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마트에서 구입할 때 전복 껍질을 제거해서 가지고 왔다.

쌀은 30분이상 충분히 불린뒤 소쿠리 건져서 물기를 뺀다.

                            재료: 전복은 껍질이 있는 것을 구입해야 싱싱하고,살아 있으며,

                                    쌀은 30분이상 불려야하며, 참기름, 물,소금 약간

 

                                    전복살은 얇게 저미고, 내장은 터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얇게 저민 전복살을 볶는다.                            

  

겨울을 지낸 관엽식물'트란데스칸티아'가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얇게 저민 전복살을 참기름에 달달 볶다가 불린쌀을 넣고 다시 볶는다.

                                냄비 밑 바닥이 눌지 않게 잘 저어주어야한다.

                                         터지지 않게 잘 빼낸 전복내장을 믹서기에 갈아서 볶아진 쌀과 전복살에 섞어

                                  잘 배합을 한 후 물을 붓고 끓이면 된다.

                                         불린 쌀이 푹 퍼질 정도로 끓이려면 물은 넉넉하게 부어야한다.

                                 처음에는 센불에서 끓이다가 어느정도 끓으면 중불로 불조절은 해야하는데

                                 센불에서 끓일 때는 가끔씩 냄비가 눌지 않게 저어주지만

                                 중불로 줄이면서는 계속 긴 스푼으로 저어가며 서서히 끓이면 된다.

                                         쌀알이 푹 퍼질때 까지 저어가며 혹시 물이 부족하지 않는가 살펴본다.

                                   쌀이 푹 퍼지기전에 물이 졸아들었다면 약간의 물을 더 붓고 살살 저어가며

                                   쌀이 퍼질때 까지 더 끓인다.

                                     쌀이 푹 퍼지면서 전복죽이 완성이 되었으면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불을 끄면 된다.

 

                                  머리가 아프거나 귀가 울리며 혀와 목이 마르는 증세가 있을 때 전복죽을 먹으면

                                  신기하게 낫기 때문에 몸살기가 있으면 사람들은 전복죽을 먹는 것 같다.

완성된 전복죽에 달걀 노른자를 섞어서 먹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냥 김가루를 얹어서 먹으면 된다.  

생각치도 않은 관엽식물이 꽃을 피워서 집안에도 봄이 온 것 같다.

선명한 녹색에 하얀 세로줄이 들어가는 덩굴성 식물이며, 밝은 창가에 매달기 화분으로 장식한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에만 먹을 수 있는 음식  (0) 2012.04.25
골뱅이 무침  (0) 2012.04.17
참소라의 별스러운 맛  (0) 2012.04.08
입맛 돋구는 식탁  (0) 2012.03.26
간장 새우장  (0) 201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