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금정산 범어사의 여름풍경

nami2 2019. 7. 6. 23:42

            비소식이 있었던 날에 ,갑자기 비내리는 산사풍경이 보고싶어서 금정산 범어사에 갔었다.

            비는 내리지 않았지만, 하루전에 내렸던 많은 비 탓에 계곡에서 흐르는 물소리는 제법 듣기 좋았으며

            산등성이에서 안개비가 내리는듯,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그냥 분위기가 있던 풍경들이 좋은 기억이 될 것 같았다.

            지난해 가을과 겨울에는 무던히도 다녔던 금정산이어서 , 지나는 길목에 있는 범어사에도  자주 갔었는데

            어찌하다보니 범어사 부처님 뵙는 것이 뜸해졌기에, 겸사겸사 다녀오게 되었다. 

 

            범어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 14교구 본사로서, 10여개의 산내암자와 200여개의 산외말사로 이루어진

            영남 3대 사찰 중의 하나이다.

                                                           조계문(보물 제1461호)

 

                  가람의 진입로에 순차적으로 세운 삼문(三門) 중의 첫째 문으로 산문(山門)이라고도 하며

                  기둥이 일렬로 나란히 서서 지붕을 받치므로 일주문(一柱門)이라고도 한다.

                  범어사 조계문은 기둥 2개만으로 지지되는  여느 사찰의 일주문과 달리 자연암반 위에

                  돌기둥 4개를 세워서 3칸을 형성했다.

                  1614년(광해군 6년)에 묘전 화상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1718년(숙종44년)에 목조기둥을  석주(石柱)로 개조하였으며, 1781년(정조5년)에 다시 중건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781년에 건립한것이지만,짧은 목재 원기둥을 받치고 있는 석주는 1718년에 세운 그대로이다.

                                       범어사 일주문 앞의 숲길에 핀 수국

                  .

                       수국의 여러가지 색깔 중에서 , 연보라 색깔이 가장 예뻐보였다.

                       울창한 나무에서 매미소리는 들리지 않았던, 여름날의  범어사 뒷곁 숲길이다.

                    .

                    .

                        .

                                  .

                              땅채송화가 살아가는 곳은 언제 부터 바위틈새 였는지 궁금했다.

                                 .

                                        범어사 산령각 앞의 큰바위

                      출입금지 구역인 요사채 뜰 앞과 마당 한쪽의 텃밭을 담장 너머에서 사진을 찍어보았다.

                           멀리 계명봉 산등성이에는 안개비가 내리는듯 했다.

                   꽃이 피는 봄날에는 공사중이어서 지나다니는것도 불편했는데

                   이제는  긴 담장 길을  걸을 수 있어서, 기왕이면 사진도 찍어보았다.

                   이렇게 인적이 드물어서 호젓할때가 있었다.

                  끈끈이대나물은 약방의 감초 처럼,가장 흔하게 꽃이피는 여름꽃이다.

                                          나리꽃

                                                  수국

                                      .

                         범어사에서는 이곳 '침계로' 앞이 가장 꽃이 많이 피어서 예쁜 곳이다.

                         스님들의 수행공간이라서 조심스러웠지만, 꽃이 많이 피어서 빼놓지않고 가는 곳이다.

                     발뒤꿈치도 들고서  조용히 걸어다녀야 할 것 같은 요사채 앞은

                     사계절 내내 꽃이 많았다.

                     마침 그곳을 지나갈때도 꽃향기가  발길을 멈추게 했다.

                     이곳저곳을 살펴보았더니, 풀 숲에 하얀 백합꽃이 제법 많이 피어 있었다.

                    

                     흰백합꽃을 방안 가득 넣어 놓고, 잠을 자면  향기에 취해서 의식을 잃을 정도라는 소리를 들었다.

                     얼마나 꽃향기가 짙었으면, 그런 이야기가 전해지는 것인지

                     그러나 요즘은 꽃향기는 커녕, 점점 이 땅에서 사라져가는 귀한꽃이 되었다는 것이 안타깝다.

                     그래도 사찰에 가면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