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범어사 청련암에서

nami2 2019. 7. 8. 23:51

            안개비가 내리는 숲길의 계곡 물소리가 너무 좋았기에, 범어사 대성암을 나온후  숲길에서 한참을 서성거렸다.

            이번에는 또 어느 암자로 갈것인가

            숲길을 따라서 찾아가는 범어사 산내암자는 원효암, 금강암, 청련암, 내원암, 계명암이었다.

            원효암은 혼자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깊은 산 속의 암자였고

            금강암은  거칠은 돌계단을 30분 정도 올라가야 했기에 망설여졌고 

            청련암을 들렸다가 내원암이나 계명암으로 가야겠다는 생각으로 또다시 범어사 경내로 들어섰다.

            범어사 산내암자는 범어사 대웅전을 중심으로 , 좌측 산속에 대성암, 원효암, 금강암이 있고

            우측 산속에는 청련암과 내원암 그리고 계명봉 중턱에 계명암이 있다. 

                                         작살나무꽃

                  .

                   가을에 보라색 열매가  다닥다닥 구슬처럼 예쁘게 달려있는  '작살나무'꽃이 제철인듯

                   범어사 암자로 가는 숲길에 제법 피어 있었다.

                    원효암은  이 다리를 건너서  1시간 정도 산속으로  올라가야 한다.

                    바위들이 모두 비에 젖어서, 김밥과 커피를  다리 앞에 서서 먹었는데, 맛이 있었다.

                     금강암은  이런 바위 계단을 타고, 30여분 정도 올라가야 한다.

                     울퉁불퉁.... 금정산 북문으로 가는 길이기도 하다.

                  며칠동안 내린 비 탓에 ,산에서 흐르는 계곡물 소리는 시원스럽게, 제법 크게 들렸다.

                 범어사 산내암자 청련암은  지장기도 도량으로

                 돌아가신 분을 위한 극락왕생기도를 하기위해, 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찾아가는 곳이다.

                                   청련암 전경

                                 청련암 뜰 앞 에 핀 수련이 볼수록 예뻤다.

                                 .

                                  .

                                 .

                              큰 연꽃이 피기 시작했지만, 아직은 작은 수련이 더 예뻐 보였다.

                 범어사에서 이곳 저곳을 기웃거려 보아도  능소화꽃이 보이지 않더니

                 청련암에서 이렇게 몇송이 꽃이 핀 능소화를 만났다.

                 언제 부터 능소화가 귀한꽃이 되었는지?

               법당에서 재를 올리는 스님들의 불경소리와 목탁소리가 마음속을 시원하게 만드는 것 같았다.

               넓은 경내에 울려퍼지는 목탁소리가 왜그렇게 시원스런 청량제 처럼 들리는 것인지

               마음속에 맺힌 응어리가 뻥 뚫리는듯 했다.

                           절에서는 염주나무, 보리수 나무라고 부른다고 한다.

                다닥다닥 매달린 열매가 떨어지면, 주워서 잘씻은후 말려서 실에 꿰어 염주를 만든다고 한다.

                       멀리 금정산 정상(고당봉)이 보인듯 하여 사진을 찍었더니

                       사진으로는 지붕에 가려져서 산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오지 않았다.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산길을 걸어내려 가다보니, 맑은 날에 느낄 수 없는 상쾌함이 있었다.

                 계곡으로 흐르는 물소리는, 혼자 걷는 산길에서 적막을 깨트려 주었다.

                 청련암에서 나온후, 계명봉 중턱에 있는 계명암으로 올라가려고 하니까

                 또다시 겁이 나기 시작했다.

                 계속해서 가파른 오르막은 별로 힘겹지 않은데, 산길에서 만나게 될  그 무엇들이 두려웠다.

                 겁쟁이 라는 딱지를 보이지 않는 곳에 붙여놓은채,  그냥 범어사로 가는 산길을 내려갔다.

                 계명암은 모든 것들이 월동하는 11월에 다녀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