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음력 5월 초하룻날 보타암에서

nami2 2019. 6. 9. 23:59

          음력 초하루에는 빠지지 않고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사리탑 참배를 위해 천년고찰 양산통도사를 찾아 가는데

          보타암은 통도사 19개 산내암자 중에서 유일하게 꼭 들려보고 싶은 암자가 되었다.

          경내에 예쁘게 가꿔진 꽃밭과 담장 곁의 화사한 꽃들이 눈에 아른거려서 ,저절로 발걸음이 시키는대로 쫓아가야 했다.

          보타암은 통도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에  잠시 들려서 부처님 뵙고, 꽃구경을 한후

          편안한 마음으로 무풍한송길을 30분 정도 걷게되면, 집으로 가는 발걸음이 한결 가벼워질것이라 생각된다. 

                   요사채가 있는 보타암 후문으로 들어가면, 온통 꽃세상을 만나게 된다.

                   작으마한 암자에 보여지는 것은 거의 꽃들이다.

                                           괴불나무 열매

                       앵두를 닮았지만, 앵두보다는 조금은 딱딱한 느낌을 주는 빨간 열매는 괴불나무 열매라고 했다.

                   법당으로  오르는 돌계단 옆으로 나열되어 있는 꽃그림이 마음을 사로잡았다.

                    .

                  꽃속에 들어있는 아기자기한 꽃그림이 미술관에 걸려있는 유명화가의 그림보다 더 멋졌다.

                                             백일홍꽃 그리고 끈끈이대나물꽃

                                                   보타암 전경

                        법당안의 정갈함에 고개가 절로 숙여졌다.

                           .

                        영취산(영축산)이 한눈에 바라보이는 ,보타암 약사전 뜰앞에서.....

                        극락암에서 바라보는 영취산

                        자장암 뜰앞에서 바라보는 영취산

                        서운암 장경각 언덕에서 바라보는 영취산

                        여러곳의 암자 뜰앞에서 바라보는 영취산(영축산)은 장소에 따라 느낌이 달랐다. 

                        통도사가 자리잡고 있는 영취산(해발1,087m)은 어느곳에서 바라봐도 참으로 멋스러운 산이다.

                   노란 금계국과 초여름의 푸르름이 암자를 더욱 고즈넉한 풍경으로 만들어낸 것 같았다.

                      작은 꽃밭 테두리에  정리정돈 하듯, 예쁘게 심겨진 백일홍꽃이

                      마당의 자갈밭에  그림을 그려놓은 것 같았다.

                                                       보타암 입구

                                                    붉은 인동초

 

              초여름꽃, 하얀 인동초가 숲길에 지천으로 피어 있는 계절이다.

              달콤스런 향기가 코끝을 자극 시키는 하얀 인동초가 노란꽃으로 변하기에 '금은화'라고도 한다는데

              하얀 인동초보다는 조금 더 매력적인 '붉은 인동초'를 보타암에서 볼 수 있었다.

              하얀 색깔이 노랗게 변해서 지저분함을 느끼는 인동초보다는, 붉은 인동초가 잘 어울리는 보타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