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통도사 산내암자 극락암

nami2 2019. 3. 21. 23:13

          승용차를 타고 다니면서 계절이 바뀔때마다  시도때도 없이 다니던  통도사 산내암자 극락암에

          정말 오랫만에 다녀왔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찾아가는 것이 결코 쉬운일이 아니었지만, 봄날의 극락암 풍경이 궁금해서 찾아갔더니

          예전의 아름다운 풍경은 어디에도 없는, 썰렁한 모습들뿐이었고

          한참 예쁘게 필 홍매화나무들도 모두 싹둑싹둑  팔 다리 잘린 흉물스런 모습들로 암자 마당을 지키고 있었다.

          극락암을 극찬했던 풍경들은  아마도  당분간은 볼 수 없을 만큼, 그냥 씁쓸하기만 했다.  

             극락암으로 가는 길의, 통도사 매화밭의 매화나무 아래서 휴식을 하며 김밥과 커피를 마셨더니

             혼자 먹는 맛이지만, 꽤 괜찮았다. 

            이곳에서도 30분을 더 걸어가야 극락암에 도착 할 수 있었다.

                 극락암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인 소나무 숲길은 보기에는 평지길 처럼 보이지만

                 숨이 찰 만큼의 가파른 언덕길이었다.

              극락암 일주문이 있어야 할 곳에 이정표가 있었다. 

                극락암  정수보각의 출입금지 팻말 앞에 

                팔 다리 모두 잘려나간 홍매화, 청매화 나무들의 흉물스러운 모습이 보였다.

                이른봄이면 매화향이 가득한 극락암인데....

                                극락암 무량수각 현판

              법당 앞에 묵언(默言)이란 글귀 앞에서 긴장을 하게 된다.

              .

                             극락암 법당의 잘 정리된 좌복

               .

                .

                 홍매화 나무들은 모두 잘려나갔는데, 이 나무는 멀쩡했다.

                                           선방                           

                                                       제비꽃

                        극락암 독성각의  활짝 핀 산수유

                                  독성각 법당

                  .

            극락암에서 제대로 볼 수 있었던 꽃은  동백꽃과 산수유뿐이었다.

            이른봄의 달콤한 홍매화 향기는 흔적없이 사라졌고, 이곳 저곳 보수공사 흔적만 눈에 띄였으며

            법당 앞에 연꽃이 필 수 있는 작은 연못도  사라졌다.

            아마도 당분간이 아니라 2~3년 동안은  극락암에 가지 않아도 될 만큼의 어수선한 풍경들 앞에서

            그냥 씁쓸한 발길을 되돌릴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