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암자 뜰앞에 핀 꽃

nami2 2019. 3. 6. 23:37

        미세먼지가 없는 날에, 갑자기 암자산행을 하고 싶어서 길을 떠났다.

        이맘때 쯤이면, 고즈넉한 암자 마당가에서 절집을 지키고 있을  빨간 홍매화가 생각났기 때문이다.

        암자 뜰앞에서 봄마중을 하고 있는 꽃은 왜  빨간 홍매화 였을까

        호기심에 이곳 저곳 발길 닿는대로 아무곳의 암자에 가보면 ,정말 한 두 그루의 홍매화 나무는 꼭 있었다.

        부처님 경전에 꼭 홍매화 나무를 심으라고 씌여 있는 글귀는 없는데....

        약속이나 한듯, 암자 마당가에는

        이른봄에는  홍매화, 석가탄신일이 있는 5월에는 불두화, 8월에는 배롱나무꽃이 피어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였다.

        무작정 발길닿는대로 떠났던, 금정산 범어사 산내암자 순례길은  홍매화가 있어서 마음 흡족했던 하루가 되었다. 

                            청련암의 푸른기왓장과 잘 어울리는 홍매화

                .

                              지장기도도량 범어사 산내암자 '청련암'               

                            .

                                                크로커스

                                                  크로커스

                                                아네모네

                                                  천리향

                                                     삼지닥나무꽃

                        삼지닥나무는  사찰이나 암자 뜰 앞에서 가끔 만나는 꽃이다.

                        원산지는 중국인데

                        노란꽃이 활짝피면  예쁘겠지만, 아직은 개화된 꽃잎은  한개뿐이라서 아쉬웠다.

                              어떤 싹이 나오는 것인지?

                              땅을 헤집고  봄을 찾아서 나오는 모습이 경이로웠다.

                          수선화 노란 꽃이 꽃망울을 터트리면서 곧 세상속으로 나올 것 같은 순간이다.

                          .

                   .

                    .

                            범어사 산내암자 '내원암'

                                         내원암의 장독대 앞의 빨간 홍매화

 

           올해는 짧은 겨울때문에  어디라고 할 것없이 봄이 일찍 찾아왔다.

           음력 정월의 끝날이며, 24절기 중 '경칩'인 오늘은 포근하다는 표현 보다는  조금은 더운 날씨였었다.

           동네 한바퀴를 걷기운동삼아 돌아다녀보니 곧 앵두꽃과 살구꽃이 필 것 같았다.

           이미 목련은 활짝 피었고....

           그러나 아직 산속의 진달래는 소식이 없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3월중순까지 기다렸다가 계절에 맞춰서 꽃이 피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은 여름이 빨리오는것이 싫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