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겨울 끝자락의 양산 통도사 풍경

nami2 2019. 2. 11. 00:12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통도사를 다녀왔다.

          설명절이라서 부처님을 찾아뵙는 것이 첫번째였고, 두번째는 통도사의 홍매화 소식이 궁금했었다.

          내가 살고 있는 해안가에는  매화가 흐드러지게 많이 피었건만

          산 깊은 곳의 산사 뜰앞에는 매화소식이 얼만큼인지 가늠조차 안되었기에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뜻밖에도 통도사 일주문 안의 경내에는, 이곳저곳에서 홍매화가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그리 많이 춥지 않았던 남쪽지방의 날씨탓에, 깊은 산속에 있는 사찰 마당 까지 봄소식은 이미 전해져 있었다.

               성보박물관 옆의 화단에 빨간색의 홍매화가  봄의 전령사 처럼 다소곳한 모습으로 피어 있었다.            

                     회색빛 겨울 풍경속의 홍매화는 유난히 예뻐 보였다.

                             딱새암컷이 덩달아 봄마중을 하는듯 차분한 모습이었다.

                 .

           양력1월1일(새해첫날) 보다는, 음력1월1일(설날)에는 통도사 일주문 앞이 조용했다.  

                  일주문 앞의 능수매화 역시 꽃을 피웠다.

                  3월초에 피는 능수매화가 올해는 한달 정도 빠르게 꽃소식을 전했다.                 

                       일주문 앞 ,국수집  뜰앞에 핀 능수매화                  

                                     기해년 음력 새해 첫날의 통도사 일주문 앞

                                                천왕문 앞

                                         불이문 앞

                                                 통도사 금강계단의 불사리탑

 

             이곳에는 통도사 창건주이신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모시고 온 부처님의 정골사리를 봉안하였다고 전한다.

             이로인하여 통도사가 불보사찰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

             부처님의 신골(身骨0인 사리를 봉안하였으므로, 대웅전 내부에는 불상을 봉안하지 않았으며

             대신 정교하고 화려한 불단(佛壇)을 조성하여 부처님의 사라를 장엄하고 있다.

                                             통도사 삼층석탑 (보물 제147호)

                     .

                .            

                      극락보전 뒷쪽의   응향각 뜰앞에  분홍매화가 활짝 피었다.

                      다른해에는 설명절이 지난뒤 ,25일쯤에 모습을 보이던 분홍매화가

                      올해는 두번 걸음을 하지 않을 만큼, 꽃이 활짝 피었다.                   

                   언제나 멋진 풍경이 있는 통도사 일주문 앞이다.                    

            삼성반월교 다리를 건너서 일주문 반대편에 서서 풍경을 바라보니  제법 멋진 모습이었다.

                   일주문에서 천왕문 까지 길게 늘어선 형형색색 '소원등'이 멋스럽게 보였다.

                      물속에 비춰진, 일주문 주변의  반영사진이 제법 아름다웠다.

                      다리건너서 일주문 맞은편에 서서 이렇게 사진을 찍어보는 것도 처음이었는데

                      물속에 비춰진  통도사 겨울나무의 모습들의 또다른 아름다움을 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