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정월 대보름날 음식

nami2 2017. 2. 12. 00:25

            저녁 6시20분쯤  바다 멀리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달을  보았다.

            평소 같으면  달이 언제 뜨는지 관심도 없었는데, 그래도 뜻깊고 특별한 날이라고 해서  지켜보았다.

            마당 끝이 바닷가인  지인집에 놀러갔다가  저녁 6시 무렵에 창문 너머로  수평선을 바라보았더니

            구름 때문에 보이지 않던  달이 6시 20분쯤을 지나서 구름 위로 붉게 떠올랐다.

            새해 첫날 일출 보는 것과 같은 .....정월 대보름날에  월출을 보았는데

            해와 달이 같은 장소에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학적인  우주에 대한  골머리 아픈 설명은 생략하고.....

            어째튼 동해남부 바닷가에 살고 있으니까 , 일출과 월출을 모두 볼 수 있다는  특혜가 좋은 것 같았다.

                          귀찮아서 정월대보름날 음식을 생략하려고 했는데

                          그동안 재래시장을  다니면서  틈나는대로 사다가 냉동실에 넣어 놓은 것이 눈에 띄어서

                          나물을 볶았더니  제법  가지수가 많았다.

                          그럭저럭 세어보니까 9가지 나물이 되었다.

                          

                          취나물, 고구마줄기, 고사리, 무우나물,시금치, 죽순, 표고, 호박고지, 시래기(무청)

                                 어린시절, 정월대보름날 음식들이  생각나서 생각나는대로 준비했다. 

                        대보름에 먹는 묵나물을 평소에도 좋아서  양념들을 준비 해놓고 아무때고 만들어 먹었다.

                        묵은나물을 볶는데, 들기름과 국간장은 꼭 빠져서는 안된다.

 

                        들기름, 참기름, 국간장, 마늘다진 것, 깨소금

                           평소에는  현미, 찰현미, 보리쌀, 서리태(콩), 수수   이렇게 잡곡을 넣어서 밥을 했는데

                            대보름날에는 약간 특별하게 잡곡밥을 만들어 먹었다.

                            찹쌀, 수수, 차조, 보리쌀  완두콩, 강낭콩, 은행

                                                       정월대보름에 먹을 수 있는  잡곡밥

                              .

                      .

                                               보름날에  부럼깨기에 쓸려고, 현미강정을 만들었다.

                          .

                            정월대보름날에 김에 나물을 싸먹는 풍습이 있다.

                            옛 어른들은  김에 나물을 싸먹으면 복을 가져다준다고 했는데, 틀린 말일 것 같고,

                            묵은 나물 볶음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말도 있다.

                            하기 좋은 말로 누가 만든 이야기 꺼리였지만, 믿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채 물김치  (0) 2017.03.25
입맛을 돋구는 쑥국과 유채김치  (0) 2017.03.12
강정 만들기  (0) 2017.01.26
비내리는 날에 텃밭채소로 반찬 만들기   (0) 2016.07.04
집에서 만든 딸기쨈  (0) 2016.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