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강정 만들기

nami2 2017. 1. 26. 00:05

                설명절이 가까워 오면서 '차례상' 준비 때문에 며칠 전 부터 하루에 한번씩 마트와 재래시장을  찾아 다녔다.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은 첫번째,싱싱한 돌문어도 사야되고, 생선도 몇가지나 준비해야 하며

                여러가지 해물도 사러다니는 것이 어제 오늘일만은  아니었다.

                그래서 생선과 해물 때문에 재래시장을 바쁘게 다니다가 , 풍성하게 놓인 강정 종류를 눈여겨 보았더니

                가격도 비싸고, 맛도 너무 단맛이 강해서 어쩔까 망설이다가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다.

                한접시 꺼리만 사면 될 것을 무엇 때문에 일을 벌리냐고 누군가 말을 하겠지만

                강정 자체를 좋아해서 겨울철 군것질 대용품으로는 손색이 없는데, 너무 비싼게 흠이었기에 

                처음으로 강정만들기에 도전해보기로 했다.

                                                            처음으로 만들어본 '들깨 땅콩 강정'

                           늦가을에  들깨를 사놓은 것이 있어서   몸에 좋다는 들깨로 강정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빼고, 땅콩, 해바라기,아몬드 슬라이스를 준비했다. 

                                물기가 제거된 들깨로 팬에 볶았다.

                                생들깨 보다는  볶은 들깨가 더 맛있다는 검색창의 레시피

                               시장에서 판매하는 것은 그런대로 먹을만 했지만, 단맛이 너무 강해서.....

                               조청쌀엿 1컵과  몸에 흡수를 줄이는 자일로스 설탕 2숟갈을 넣고  만들어 보기로했다.

                                              중불에 자일로스 설탕 2숟갈, 그리고 조청쌀엿 한컵을 끓였다.

                                                  조청이 부글부글 끓으면, 준비해둔  들깨와 견과류를 섞어서 넣고 

                                                        약한 불에서 들깨를 2분 정도 뒤적거린다.                             

                                          쟁반 위에 비닐을 깔고, 비닐에 올리브유를 발라 놓은 후

                                          들깨 버무린 것을  비닐 위에 잘 쏟아넣는다. 

                                                       처음 만들어본 들깨강정의 모습이 우습다.

                                               들깨와 땅콩을 반반씩 넣고,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 보았다.

                                              첫번째 만든 강정은 무언가 솜씨 부족인듯.....

                             두번째로 만든 강정은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만들 수 있었다.

                             .

                                         두번째 만든 강정은  첫번째 것 보다 약간 잘된 것 같다. 

                                  또다시 땅콩, 아몬드, 해바라기를 팬에 넣고 볶았다.

                                            뻥튀기 하는 곳에서  현미를 사다가 강정을 만들고 있는중...

                                   설탕과조청엿의 배합이 잘 안맛는 것인지?

                                   힘이 없어 보이는듯......했다.

                                         세번째  현미강정을  만드는 것에서는  혼자만의 노하우가 생겼다.

                                                     땅콩강정 보다는  현미강정이 더욱 먹음직스럽다.

                                                     집에서 만들었더니  시장에서 사오는 것보다 몇배 양이 많았고

                                                     우선 달지 않아서 몇개라도 집어 먹을 수 있었다.

                                                     당뇨라는 것 때문에 그동안 먹는 것에 신경쓰였던  강정이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