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주 불국사에서

nami2 2016. 9. 29. 00:43

              오늘도  국민 안전처에서 문자가 날아왔다.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규모 3.1 지진발생/여진 등 안전에 주의 하라는.....

              오후 4시 39분에 날아온 문자였지만,

              길을 걸어 가고 있었던 시간에 전혀 느끼지 못했는데, 경주 주변에서는 한 바탕 소동이 있었다고 한다.

              집 주변에서는 며칠에 한번씩 날아드는 재난 문자 때문에 스트레스를 약간 받을뿐이지만

              경주 지역에서는 언제 어느때 문화재 피해가 발생할런지  괜히 조바심이 생긴다.

              경주는 노천 박물관이라고 할 만큼 도시 곳곳에 문화재가 많이 눈에 띈다.

              토함산은 물론이지만, 경주 남산은 신라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불국토인데, '지진' 참으로 어처구니 없다. 

                              비가 내리는 날이라서  토함산 산기슭에 물안개 가득이다.

                                                      불국사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다.

                          불국사  그 넓은 곳에 단 한포기의 꽃도 없었다.

                          혹시 불국사에 꽃무릇이 피어 있지 않을까, 구석 구석 살펴보았지만, 꽃은 없었고.....

                                                                      천왕문

                                                             꽃보다 아름다운 ' 백당나무 열매'

                                                   불국사 가구식 석축( 보물 제1745호)

                       경주 불국사는  신라의 동악인 토함산  서측 기슭에 위치하여,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불국사의 지형은 북측이 높고 남측이 낮은  북고남저와  동측이 높고 서측이 낮은 동고서저으로

                       지형에 따라 석측을 가구식으로 조화롭게 쌓았다.

                                                  불국사 나한전 옆의 '소탑지'

 

                     신라시대에는 탑이 마치 기러기가 날아가듯, 서라벌 곳곳에 즐비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것은  법화경에서  "어린아이가 장난으로 모래탑을 쌓더라도 한량없는  복락을 받아 부처가 된다."

                     라고 하였다.

                     그래서 우리나라에는 옛적부터 돌로 작은 탑을 만들어서 자신의 소원을 기원하는 풍습이 생겼다.

                     이러한 이유로 불국사 나한전에는 많은 참배객들이 자연적으로 하나 둘씩 돌탑을 쌓아서

                     소망을 기원하는 소탑지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불국사 '사리탑'보물 제61호)

                                          .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원통 모양으로 위 아래에 연꽃과보상화를 새긴 기둥을 조각하여

                               4면으로 나뉘었다.

                               오목 새김한 불감 佛龕을 두고 그 안에 여래2구와 함께 보살입상 2구를 돋을 새김하여

                               감실의 윗부분에는  장막을 드리워 새겨놓았다.

                                                                          사리탑 보호각

                    높이 2.06m  비로전 왼쪽의 보호각 안 에 있는데, 원래는  지금의 자리가 아니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장식이 아름답고 단아해서  일제 강점기 때,일본으로 운반되어 나갔다가

                    1933년에 다시 되돌아왔다.

                    겉모양은 석등과 비슷하며, '불국사 사적기'에 기록된 '광학부도'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탑은 받침돌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통일신라 8세기 중엽 이후 임진왜란 전 까지  불국사는 아홉차례의 중창및 중수를 거쳤다.

                          그런데 임진왜란 때 전소되어 석조물만 남았다. 

                                                                   기왓장에 새겨진 문양

                                                            회랑

 

                        불국사는 창건 당시의 석조물로는 사찰앞 석축과 연화교 칠보교, 청운교 백운교, 석탑2기

                        사리탑, 당간지주, 석조, 각 건물의 기단과 초석 등이 그대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