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경주 불국사 국보급 문화재들

nami2 2016. 9. 28. 01:20

                생각치도 않은 지진 때문에  뉴스 시간에 자주 오르내리는  경주 불국사를 다녀왔다.

                눈에 띄게 흠집이 난 것은 없는 것 같은데, 뉴스 시간에 단골손님이 되어버린 경주 불국사의

                경내에는 국보급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기에, 정말 지진의 강도가 더 높아진다면

                안타깝게 바라봐야 할 것들이 이곳 저곳에 많이도 있었다.

                경주 불국사는  사적및 명승제1호로 지정 되어 있으며, 1995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자하문으로  오르는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국보제26호)

                                    아랫쪽 18계단은 청운교이고, 윗쪽 16계단은 백운교이다.

 

                                청운교, 백운교는  대웅전 구역으로 오르는 계단을 다리라고 한 것은

                                속세에서 부처님의 세계로 건너감을 상징한것이라고 한다.

                                                                  범영루

 

                                           불국사 자하문과 안양문 사이에 범영루가 있으며

                                           두개의 석조 지주는 독특한 모습으로 되어 있는데....

                                         불국사  연화교 , 칠보교(국보 제23호)

 

                        안양문으로 오르는 계단으로  아랫쪽 10계단 연화교이고, 윗쪽 8계단이 칠보교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1

                     삼국유사에 따르면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751년)때 김대성이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불국사의 내력을 적은 '불국사역대고금창기'에 따르면

                     이 절은  528년에 창건했다고 전한다.

                     또 574년에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부인이 절의 규모를 크게 늘렸고, 문무대왕때인 670년에

                     무설전은  새로 지었으며, 751년에 낡고 규모가 작았던  이 절을 당시의 재상 김대성이

                     크게 다시 지었다고 한다.

                     그후 여러차례 걸쳐 고쳐 지으면서 규모 2000여칸으로 커졌으나 임진왜란(1593년) 때

                     왜군에 의해 불타버렸다.

                                                                        목어

                                                        불국사 대웅전(보물 1744호)

 

                                정면 5칸 측면 5칸의 다포계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통일 신라 시대에 쌓은 기단은  지대석, 면석, 갑석 등을  고루 갖춘 것으로

                                4면의 중앙에 계단 1개씩을 두고 다듬은 주춧돌을 놓았다고  하는데

                                대웅전은 1765년(영조41년)에 중창 된 것인데, 중문인 자하문과 함께 당시 불국사의

                                건축을 대표하고  있다고 한다.

                                대웅전  법당 내부는 사진촬영이 금지되어서  밖에서  대충 찍어보았는데..... 

                                안쪽 중앙 어간 기둥머리에 용머리를 돌출 시켜놓은 모습과

                                천장의 고풍스런 단청과 연꽃모양의 꽃그림이 인상적이었다. 

                                                                    대웅전 앞 석등

                                                              다보탑(국보 제21호)

                                            불국사 삼층석탑 (국보 제 22호) 석가탑, 무영탑이라고도  부른다.

 

                             이 탑의 축조를 맡은 당나라 석공의 아내, 아사녀가 남편을 찾아와서

                             탑이 완성되어  불국사 영지에 탑의 그림자가 비치기를 기다리다가  마침내 물에

                             빠져 죽었다는 슬픈 전설을 지니고 있어서 '무영탑(無影 塔)'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극락전 앞의 복돼지상

 

                                        사람들마다 한번씩 돼지를 쓰다듬으니  돼지가 점점 더 반질반질 윤기가 났다.

                                                    극락전 편액 뒤쪽 공포위에 있는  한마리 돼지상

 

                     사람들은 이 돼지를 복을 가져다주는  황금돼지,또는 복돼지라고 부른다고 한다.

                     1750년 조선 영조 때 극락전이 중건 될때 만들어진 돼지가 편액 뒤에서 꼭꼭 숨어 있다가

                     257년만에 불국사를 찾은 한 관광객에 의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고 한다.

                                      불국사 당간지주 2쌍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6호)

                                                             백당나무 열매

 

                                    불국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