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비슬산 소재사

nami2 2015. 12. 25. 23:51

              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비슬산 남서 중턱 조화봉 자락에 위치한'소재사'는

              신라시대 창건된 절이라고 하는데, 창건연대와 창건자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소재사 사기(史記)에 따르면 1358년(고려 공민왕7년)에  진보법사가 중창했고, 1457년(조선 세조3년)에

              활륜선사가 중건하였으며, 1510년 (조선중종5년) 선주외암이 중수하였다.

 

              중창: 낡은 건물을 고쳐서 다시 새롭게 지음

              중건: 절이나 궁궐따위를  보수하거나 고쳐지음

              중수:사람이 낡은 건축물 따위를 다시 손대어 고치다.

 

               소재사 연혁에 중창,중건,중수 라는 글귀가 참으로 아리송했다.

               모두 같은 뜻인 것 같은데, 무엇이 틀린 것인지?

                                  소재사 입구에 '100년 달성 장승'이라는 글귀를 적은 안내판이 있었다.

                                                        소재사 일주문

                                                                           소재사 대웅전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673년에 지었으며

                                그 후 몇차례 보수한 흔적이 있다고 한다.

                                                          대웅전 의 삼존불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약사불, 우측에는 연등불이 협시해 있다.

                        비슬산 자락에 고즈넉하게 지라잡고 있는 소재사는 절 이름에서 보듯이

                        재앙을 소멸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지장도량으로....

                        대웅전 보수시 상량문에는  현재는 거의 폐사지 상태이지만, 산내암자와 더불어

                        상주 대중이 300여명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큰 사찰이었으며

                        수많은 고승대덕이 배출된 도량이라고 전해온다. 

                                                                삼성각

                                                         소재사 전경

 

                                          소재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말사이다.

                                                      지장전(명부전)

                                            붉은 감나무도 그냥 쓸쓸해보인다.

                                                           종무소 겸 요사채

                                                     소재사 일주문 앞

                                               비슬산은 해발1,084m이며, 최고봉은 대견봉이다.

                                        비슬산 주위에는 청룡산, 최정산, 우미산,홍두깨산 등이 있다.

                                        기반암은 석영반암이며, 산마루에는 풍화침식작용으로 이루워진 

                                        여러 모양의 암석이 드러나 있다.

                                        1986년 2월에 비슬산 군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으며

                                        진달래. 철쭉 억새 군락지로서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문화유적이 많아서

                                        대구를 중심으로 인근 주변의 사람들이 즐겨찾는 것이라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최정산 운흥사  (0) 2015.12.31
경북 영천 죽림사  (0) 2015.12.29
주왕산 백련암 주변에서  (0) 2015.12.09
경북 청송 주왕산 대전사  (0) 2015.12.07
안동 학가산 광흥사  (0) 201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