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안동 학가산 광흥사

nami2 2015. 11. 17. 23:50

                 경북 안동시 서후면 지품리, 학가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광흥사는  신라 신문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하여 중수, 중창을 거쳐 안동에서는 가장 큰 사찰 중의 한 곳이었는데

                 전해내려오는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으며

                 현존하는 사적으로는 광흥사 중건 사적기가 1권 남아 있다고 한다.

                 이 사적의 중수기에 의하면 의상대사의 창건과 고려불교의 중흥기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왕실의 원당이었으며 광흥사에는 조선 왕실의 어첩과 유물 및 여러 경전을 봉안하였다는  기록과 함께

                 안동지방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찰이었다는 내용들이 적혀있다고 한다.

                                      광흥사 중심에는 응진전과 산령각 그리고 요사채가 있다. 

                                      응진전 아랫쪽에는 명부전과 응향각이 있으며 

                                      그 우측 아래에 최근에 중건한 대웅전과 일주문이 있다.                    

                                                           광흥사 응진전

 

                       응진전은  대웅전 극락전 등 주요  불전이 소실된 후 광흥사 중심불전 역활의 건물이다.

                       정확한 건립시기는 전해지지 않았으나

                       1985년에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65호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5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다포계 건물로서 내부는 통칸이며,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통일신라때 조성한  석가모니불 좌상 그리고 협시불인 미륵보살상과 제화갈라보살상

                                                      응진전 앞의 오래된 석탑    

                                                         산국화의 향기가 그윽하다.

                                          떨어지는 낙엽 사이로 아직도 산국 향기가......

                                                                 나팔꽃

                           광흥사는 한글창제와 관련된 복장유물이 많은 사찰이었다.

                           광복직후 기독교인들의 방화로 대웅전이 소실되고, 6,25를 겪으면서 관리가 소홀해

                           오랫동안 '응진전'이 광흥사의 중심 건물이 되었다.

                                                            산령각

                    광흥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의성 고운사 말사이다.

                                                최근에  새로 지은 '대웅전'

                                                                 대웅전 꽃문살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가 광흥사의 응진전 나한상의 복장품이었으나

                  절을 지키는 스님 보다 도둑이 먼저 알고 훔쳐갔을 정도로

                  광흥사가 훈민정음과 관련된 유물이 많은 사찰이라는 것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광흥사는 역사적인 한글 유적지의 명소가 되었다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왕산 백련암 주변에서  (0) 2015.12.09
경북 청송 주왕산 대전사  (0) 2015.12.07
안동 학가산 광흥사의 가을풍경  (0) 2015.11.16
안동 용두산 용수사  (0) 2015.11.14
정읍 내장사 절집 풍경  (0) 2015.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