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1번지, 상왕산 자락에 자리잡은 '개심사(開心寺)'는
마음의 문을 여는 절이라는 사찰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7교구 본사 수덕사 말사인 '개심사'는 백제 의자왕14년(654년)에
혜감국사가 창건하여 개원사라고 했으며
고려 충정왕2년(1350년)에 처능스님이 중건한 후 개심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일주문
그후 불탄 것을 조선 성종6년(1475년)에 중창, 그리고 1740년 중수하였으며
최근에는 1955년에 전면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벚꽃이 아름다운 개심사의 봄은 아쉽게도 볼 수 없었지만,
여름날의 아름다운 배롱나무꽃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직사각형의 연못에 외나무다리를 건너서 '개심사' 돌계단을 올라갔다.
개심사 안양루 현판에 쓰여진'상왕산 개심사' 예서체의 글씨는
근대의 서화가 '해강 김규진' 선생의 필체라고 했다.
해탈문
범종각
범종각을 받치고 있는 4개의 기둥이 모두 휘어진 것이 특이하다.
개심사 대웅보전(보물제 143호)
조선초기의 건물이다.
고려말 맞배지붕 양식에서 조선시대 화려한 팔작지붕 양식으로 넘어 오는 시기에 지어진 건물.
아미타삼존불
대웅보전에 모셔진 아미타불과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
요사채 '무량수각'
개심사 5층석탑(보물 제53호)
심검당(충남 문화재 자료 제358호)
심검당은 대범함과 소박함을 함께 전해주는 독특한 분위기이며
단청을 하지 않은 것도 그렇고 휘어진 목재를 그대로 기둥과 대들보를 사용한 것이 멋스럽게 보인다.
심검당의 끝자락 종무소가 있는 건물의 기둥과 대들보가 눈을 크게 뜨게 만들었다.
고풍스럽고, 멋스럽다.
조선 초기의 요사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건물이다.
노란 삼잎국화꽃이 더위를 이기지 못하고 휘청거린다.
요사채로 쓰이는 무량수각의 뒷쪽, 휘어진 기둥과 툇마루가 정겹게 느껴진다.
나무 그늘에서 수줍게 피어 있는 '맥문동'
명부전(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194호)에 모셔진 '철불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들'
고즈넉함이 보여지는 숲속의 전각
개심사는 중심건물인 대웅보전과 심검당, 안양루..등
전각들이 작은 규모의 사찰이지만 충남의 4대 사찰로 불릴만큼 가치있는 절이라고....
개심사는 영험있는 지장기도 도량으로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근대 불교사의 큰 스님들이 주석하면서 수행하였던 참선도량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근대 한국불교 선종의 증흥조로 불리는 경허스님이 한동안 머물며
두문불출 정진 하던 곳이 바로 개심사라고 한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미 상왕산 일락사 (0) | 2015.08.19 |
---|---|
서산 상왕산 문수사 (0) | 2015.08.19 |
군산 동국사 (0) | 2015.08.10 |
익산 백운사 (0) | 2015.08.05 |
익산 문수사 (0) | 201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