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호국사가 있는 진주성에서

nami2 2012. 11. 23. 23:54

       경남  산청을 다녀오면서 진주를 지나다가 문득 진주성 안에 있는 호국사를 들려보기로 했다.

       호국사가 있는 진주 성內에는 유명한 촉석루가 있었고,남강이 흐르고 있었기에 호국사 참배를 하고

       진주 성곽을 한바퀴 돌아보고 싶었다. 

                                                                    만추의 호국사 풍경

                                                        월영산 호국사라는 현판이 붙은 호국사 천왕문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內에 위치하고 있는 전통사찰 제70호 호국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되어

                      원래는 내성사였다.

                      고려말에 왜구를 막기위한 승병을 기르기 위해 창건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승군의 근거지가 되었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성과 함께 운명을 같이한 승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선 숙종 때 호국사(護國寺)라는 이름으로 재건하였다고 한다.

                                                                        호국사 대웅전

                                                      종각 앞에 핀 노란국화의 색깔이 너무 곱다.

                                                                            호국사 삼성각

 

                                현재의 호국사는 진주성을 정비 하면서 일주문 자리가 발견되어 새로 건립한 것이며

                                사찰의 건물들은 모두 근래에 새로 지어진 것이라고 했다.

                                                            서장대(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6호)

 

                      진주성 서문의 목조팔작 기와건물 지휘장대로  남강을 따라 절벽 위에 쌓은 진주성의

                      서쪽 벼랑 끝에 지어졌으며, 현재의 건물은 소실된 것을 1934년 독지가에 의해 중건되었다고 한다. 

                                  

                                               진주성곽에서 바라본 진주 남강

 

                                              진주성곽을 따라 걸으면서 늦가을의 정취를 느껴본다.

                              진주성은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서 본성동에 걸쳐있는  석성으로 1963년 1월21일에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진주성은 남강을 끼고 외성의 둘레는 4km롤 쌓고, 내성은 1,7km에 이르며

                              외적을 막기위하여 삼국시대 부터 조성한 성으로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깃든 유서 깊은 곳이다.

                             

                                           늦가을 공원길 낙엽 위에서 여고생들의 뒷모습이 예뻐 보인다. 

                                           성곽을 따라 걷다보니 멀리  '촉석루'가 보인다.

                                                 촉석루 담장 너머로 보여지는 모과 향기가 코끝을 스친다.

                                              노란 색깔 덕분에 '모과'가 너무 아름다웠으며, 향기 또한 환상적이다.

 

                   

                   진주성은 고려말 우왕5년(1379년)에 진주 목사 김중광이 잦은 왜구의 침범에 대비하여

                   본래 토성(土城)이었던 것을 석성(石城)으로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성의 중앙에 남북으로 내성을 쌓았다.

                   선조25년(1592) 10월 왜군 2만여명이 침략을 해오자 김시민 장군이 이끄는 3800여명의 군사와 성안의 주민이

                   힘을 합쳐 물리쳤으니 이것이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이라고 한다.   -백과사전에서-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 백련사  (0) 2012.12.20
강진 백련사 동백숲 길에서  (0) 2012.12.19
범어사의 가을풍경  (0) 2012.11.22
산청 내원사 (지리산)  (0) 2012.11.20
영산암(봉정사 산내암자)  (0) 2012.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