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불영사 (천축산)2

nami2 2012. 11. 8. 23:43

       경북 울진 천축산에 자리한 '불영사(佛影寺)'는 신라 진덕여왕5년(651)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고찰로

       서쪽 산등성이에 부처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치면서 절이름을 불영사라 하였으며

       1968년 부터 비구니 선원 수행도량으로 지정되었다.

       산태극(山太極), 수태극(水太極) 형국의 길지에 자리잡은 불영사는 조선 숙종때 인형왕후 불사의 은덕을 기리는

       원당과 아울러 왕후께 현몽하였다는 양선당선사를 비롯하여 전염병으로 급사한 현령 백극제가

       부인 이씨의 지극한 공덕으로 환생하였다는 설화 등 수많은 불사 공덕의 역사를 안고 있다.  

                                              맑은 물과 연꽃이 아름답게 피었던 연못의 모습은 사라지고

                                              진흙 밭으로 변해버린 불영사 영지! 

                                                   불영사 삼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불영사 설법전 앞의 하얀 고무신이 아름답게 보여진다.

                                         노란국화의 화사함과 범종루 주변의 단풍들이 잘 어우러진다.

                                                                  불영사 명부전(지장전)

                                                           들국화라고 부르는 산국

                                                       짙은 국화향기가 코끝을 스쳤다.

                                                   의상전을 붉게 물들인 단풍나무

 

                                   의상전은 조선조 숙종의 계비 인연왕후의 복을 비는 원당이라고 한다.

                                   1933년에 작성된 불여사 사적비에 의하면

                                   숙종이 장희빈 때문에 인현왕후를 폐출한 후 왕비가 자결하려고 하자 꿈에 불영사에서

                                   왔다는 한 고승이 내일 좋은 일이 있으니 염려하지 말라고 ....

                                   그 이튿날 장희빈의 음모가 밝혀지면서 인현왕후가 환궁하게 되자 그  불은에 사례하기위해

                                   불영사 사방 10리를 하사했다고 적혀 있다.

 

                                   불영사 주지스님께서 최근 의상전을 수리하던 중 의상전 서쪽 종도리 바닥 사각홈에서

                                   한지에 묵서로 쓰인 상량문1기를 발견했다고 한다.

                                                                           불영사 의상전

                                                                    불영사 응진전 (보물제730호)

 

                               불영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예전에는 영산전이라고 불렀다.

                               석가모니 부처님과 좌 우에는 흙으로 빚어 만든 16나한이 모셔져 있다.

                  

                               응진전은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로 앞면3칸 옆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며

                               자연석으로 허튼층 쌓기를 했는데, 지형에 따라 안쪽은 높고 뒤쪽은 낮게 조성 되었다.

                               자연 그대로의 주춧돌에 약간 배흘림 기둥이 있는 기둥을 세웠으며

                               가운데 칸에는 4분합문을 달았고, 양쪽은 협칸은 벽으로 되었다.

                               건물 내부에는 출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 모두 불단을 설치하였다.  

                               1984년 건물을 해체 보수할 때 중수 상량문이 나왔으며

                               종도리 밑에서 1716년에 쓴 묵서명이 발견되어 1578년 이후 5차례에 걸쳐 보수가 있었다고 했다.

                                                                   백과사전에서

                                     불영사로 들어가는 입구 청풍당 주변의 경치가 너무 멋스럽다.

 

                                     불영사는 인고의 세월속에 수많은 전란과 화재로 크고 작은 중건, 중수로

                                     거듭하여 왔으며, 수많은 문화재가 사찰의 역사를 잘 말해주고 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향기 그윽한 영산암에서  (0) 2012.11.13
안동 봉정사  (0) 2012.11.12
불영사 (천축산)1  (0) 2012.11.07
어둠이 깃드는 산사에서  (0) 2012.10.30
청양 장곡사  (0)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