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조리

동지팥죽

nami2 2011. 12. 30. 00:39

         동지(冬至)는 묵은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이함에 있어 잡귀와 재앙을 멀리 하고 복을 구하는 

         원화소복(遠禍召福)의 의미를 갖고 있는 우리 고유의 민속풍습에서 유래 되었다.

         동지가 지난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동짓날에  팥죽을 직접 쑤어서 먹었다는 것에 의미를 두었기에

         사진을 찍어둔 것이 있어서 소개를 해본다.

  

             우리나라에서는 팥죽을 겨울에 많이 먹으며, 특히 24절기 중 하나인 동지에 만들어 먹는다.

 

             예전에는 동지에 팥죽을 쑤면 먼저 사당에 올려놓고 차례를 지낸다음

             방,마루,광, 등에 한그릇씩 떠다 놓고,대문이나 벽에다 팥죽을 뿌리고 난 이후에 먹는다.

             민간에서는 성주,조상,삼신,용단지 등,  집 지킴이에게 먼저 올리는 것은  붉은 팥이 액을 막아주고

             잡귀를 없애 준다는데서 시작 되었다.

             동네 어귀의 오래된 나무에도 뿌리고, 팥죽이 부글부글 끓을 때 그 국물을 떠서 곳곳에 뿌리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민간신앙에서 빨간색은 귀신들이 두려워하는 색깔이므로

             붉은 팥으로 끓인 팥죽에는  액운을 물리치는 신비한 능력이 있다고 여겨졌다.

            동지에 팥죽을 끓이고, 먹는 풍습은 잡귀가 가져오는 불운이나 전염병을 막기위한 주술적인 의미도 있었다.

 

                                 서툴지만 이번 '동지'에는 팥죽을 직접 만들어 먹고 싶어서 붉은 팥을 준비했다.

 

                                                         팥이 무르도록 푹 삶아 놓았다.

 

                         다른 집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도  내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팥죽을 손쉽게 하고 싶어서

                         삶은 팥을 믹서기에 갈았다. 

                                          믹서기에 갈은 팥의 찌꺼기가 거칠게 나올 것 같아서 채에 받쳤더니~~

 

                                                   너무 곱게 갈아져서 채로 받칠 것도 없었다.

 

                         개인적으로는 팥죽에 새알심을 넣는 것을 싫어해서 내가 만든 팥죽은 새알심이 들어 있지 않다.

                     그러나 팥알갱이가 씹히는 것을 좋아해서 팥 알갱이를 조금 담겨 두었다.

                     불린 쌀을 팥물에 넣고,  쌀이 눌지 않게 살살 저어주어야 한다. 

                                          불린쌀이 팥물 속에서 눌지 않도록 하려면, 계속해서 잘 저어 줘야한다.

                                                                               팥죽이 끓기 시작한다.

                                     어느정도 팥죽이 끓으면, 남겨둔 팥 알갱이를 넣고, 소금을 약간 넣어 간을 맞춘다. 

 

                         완성된 팥죽을 동치미 국물과 먹어보니 맛이 일품이었다.

                         지난해 까지는 팥죽을 먹지 못했었다.

                         팥죽을 먹으면 위가 아파서 먹을 수 없었던 팥죽을 올해는 아무리 먹어도 탈이 나지 않았다.

                         내가 나이를 먹었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는 것 처럼 팥죽이 맛이 있었다.

                         그동안 못 먹었던 팥죽을 한꺼번에 먹기라도 하듯~ 남아 있는 팥죽에도 관심을 가져본다.

                         냉장고에 보관된 팥죽은 간식으로 먹을만큼 갑자기 팥죽을 좋아하게 되었다.

                         설마~입맛이 바뀌었다고 이변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지?

  

 

'요리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메기 먹는 계절에  (0) 2012.01.21
야채샐러드 드레싱   (0) 2012.01.11
순두부찌개  (0) 2011.12.22
콩나물밥  (0) 2011.12.15
계란찜  (0) 2011.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