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장안사의 겨울 풍경

nami2 2019. 12. 24. 23:55

           초하룻날에는 불보사찰인 통도사를 늘 다녀오기 때문에, 장안사에는 동짓날에 미리 다녀오면서

           며칠남지 않은 한해의 마무리를 잘하고 돌아왔다.

           일년동안 벽에 걸어놓는 달력도 받아와야 했고, 제적사찰이 장안사였으므로 신도증 갱신도 해야겠고.....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 봄날의 산길을 걷고, 아카시아 향기가 그윽한 초여름의 산길도 걸어갔으며

           태풍 때문에 세차게 비가 내리는 날에도 ,마을 버스에서 내려서 20분 정도의 산길을 걸어가야 했었고

           날씨가 더워서 법당에 앉아 땀을 비오듯 쏟아내던 여름날에도

           그리고 날씨가 너무 추워서 법당에 앉아 있으면서, 발이 꽁꽁 얼어버리는 것 같은 겨울날에도....

           숱한 날들의 시간들 속에서 절집 추억을 남긴채

           또 한 해를  속절없이 보내야 한다는 것에, 이제 서서히 마음을  비워 놓기로 했다.

                       파라칸사스 열매가 이렇게 푸짐하게 매달린 모습을 처음보았다.

                       아침햇살에 어찌나 예쁘게 보였던지,

                       절집으로 가는 바쁜 아침시간에 외면을 하고 지나가려니까, 자꾸 미련을 남기게 해서

                       사진을 찍어 보았다.

                         낙엽이 푹푹 쌓인 산길을 걷는 것도 재미 있었다.

                    감나무의 감이 금방이라도 터질것 처럼, 완전 몰랑몰랑 거렸다.

                        한개를 따서 입어 넣으면

                        씹을 것도 없이 사르르 녹아내릴 것 같은 물렁한 감이 되어 있었다.

                   새들이 파먹은듯한 흠집이 제법 많이 있었다.

                   통도사, 범어사, 장안사 , 이곳저곳의 암자.... 어느곳에 가더라도  감은 산새들의 먹거리였다.               

                       남천나무 열매도 제법 빨갛게 되어  겨울 풍경을 만들어 냈다. 

                                             장안사 부도탑

 

                  이곳은  장안사 역대 고승 대덕스님들의 사리와 유골을 모신 곳이다.

                  여기의 부도와 탑비는 원래 장산사 주변에 산재해 있던 것을 스습하여 함께 봉인한 것이라고 하며

                  건립연대는 건릉(영조)및 가경(정조)시대로, 지금으로 부터 250~200여년전 이라고 한다.

                                장안사 부도탑 주변의 대나무숲길

                                 숲속에 자리잡은 석조여래좌상

                                       포대화상님의 미소는 언제나 일품이다.

                     .

                    .

                                  아직도 가을국화는 사라지지 않았다.

                     .

                       앙상한 겨울나무가 있는  숲길을 걸어서,또다른  암자로 발길을 옮겼다.  

                산이  깊은 암자 주변의 감나무도 여전히 산새들의 먹거리가 되어 있었다.

                   .

                  긴 숲길을 걸어가서 발길이 멈춰진 곳은 ........

                  그리움이 머무는 이곳에서도 한해의 마무리 인사를 하고 돌아왔다.

                 낙엽을 긁어 모으면 산처럼 높이 쌓여질 것만 같은 숲속에, 겨울의 쓸쓸함이 내려앉았다.

                 이리저리 발길을 움직이면서 그냥 혼자만의 중얼거림으로 적막함을 깨트렸다.

                 두손을 꼭잡은  노년의 부부가 암자로 올라가고 있었다.

                 왜 그렇게 그들의 뒷모습이 예뻐 보였던지

                 순간, 백년해로의 의미가 가슴속에서 못이 박히는 것 같은 아픔을 느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성산 내원사  (0) 2020.01.27
겨울비 내리는 통도사 풍경  (0) 2020.01.06
금정산 산내암자 계명암  (0) 2019.12.20
금정산 범어사의 겨울풍경  (0) 2019.12.20
암자 주변 산책로를 걸으며  (0) 201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