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산사의 풍경

초파일을 앞둔 금정산 범어사 풍경

nami2 2019. 5. 5. 00:14

         20년전, 사월초파일 부처님 오신날에, 절에 잘다녀오신 어머니가 그날밤에 갑자기 부처님곁으로 떠나가셨다.

         그래서 어머니의 기일이 음력으로 4월7일이 되었고, 어머니가 계신 산비탈 작은집에 다녀오기 때문에 

         늘 부처님 오신날에는, 집 주변 사찰을 다녀올 수가 없어서 몇군데 사찰을 미리 다녀오느라 바쁜 한주일이었다.

         다음주에는 이런 저런일과 함께 어머니 기일로 인하여 서울행 열차를 타게 될 것 같았다.

         양력4월과 음력4월이라는 '4월'에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두번씩이나 보내야 했기에 

         그것이 멍에가 되어서 평생 슬픈달이 된다는 것이 새삼스레 서럽다는 생각을 해본다.

         한 주 동안  바쁘게 다녔던 암자와 사찰의 풍경들이 너무 예뻐서 힘들다는 생각조차도 해보지 않았는데

         이맘때 아니면 예쁜 사찰풍경들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잘 다녀왔다는 것을 자랑해보고 싶어졌다.

                 금정산 범어서 산문을 지나서 일주문으로 가는 길이다.

                 한껏 푸르름이 멋스러운데, 오색연등 까지 한몫을 하는 것 같았다.

                                             범어사 일주문 (조계문) 보물제1461호

 

                     1614년(광해군6년) 묘전화상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718년(정조5년)에 백암스님의 주관아래 다시 중건되었다고 한다.              

                 .

                                           골담초꽃

                                                   천왕문

 

                         숙종20년에 창건했으며, 1989년에 중수한 건물이 최근 화재로 불타없어져서

                         2012년에 새로 지었다.

                                                불이문(해탈문)

 

            불이(不二)란 있음과 없음, 삶과죽음, 선과악 등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적 관점을 뜻한다.                    

                                          삼층석탑(보물제250호)

 

                     범어사 삼층석탑은  비교적 규모가 작고, 옥개석과 받침면석, 우주 등이 간소화된 탓에

                     통일신라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장전 앞의 극락왕생 하얀등

                  .

             부처님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불두화(佛頭花)'라는 이름을 가진 하얀꽃이 초파일을 앞두고 활짝 피었다.

                                                 씀바귀꽃

                     긴 돌담과  잘 어울리는 연등은 범어사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

                초파일쯤에만 볼 수 있는 멋진 풍경이다.

               .

                .

                                        매발톱

                           꽃이 시들어가는 모습이 애처로웠다.

                           요사채 주변을 화사하게 했을  '모란'도  인생의 끝은  어쩔수 없었나보다. 

                                              블루베리꽃

                    이곳 요사채 앞의 불두화는  아직은  어린애 수준의 모습이다.

                    활짝 피어서 하얀꽃이었을때의 그 탐스러움은 초파일날에 진가를 발휘하는 것 같았다.

                    어떤 꽃보다 초파일날에 잘 어울리는  불두화는

                    전국의 어느 사찰이나 암자 뜰 앞에 꼭 자리를 잡고 있다는 것이 신기했다.

 

'그림 > 산사의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어사 산내암자 '대성암'  (0) 2019.05.07
금정산 원효암  (0) 2019.05.06
초파일을 앞둔 '불광산 장안사' 풍경  (0) 2019.05.01
여수 흥국사  (0) 2019.04.23
통도사 보타암의 아름다운 풍경  (0) 2019.04.16